배달 대행 플랫폼 기업으로 급성장한 바로고가 신선식품 유통업체인 초록마을 인수를 추진한다. 초록마을이 쌓은 유기농 신선식품 브랜드 및 영업망을 바로고의 배달 대행업 노하우와 결합해 마켓컬리의 새벽 배송과 차별화,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전략이 관심을 모은다.
2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바로고는 최근 초록마을 인수를 위한 실사 작업에 착수했다. 초록마을 매각 자문사는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이 맡고 있다. 초록마을 측은 다음달 중순께 SPA(주식매매계약)를 체결하는 일정을 염두에 두고 막판 인수 작업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4년 설립된 바로고는 배달의민족과 요기요 등 플랫폼과 제휴를 맺고 음식점과 고객을 연결해왔다. 2019년 450억 원이던 바로고 매출은 2020년 770억 원으로 늘었고 지난해에도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간 것으로 추산된다. 창업자인 이태권 대표가 2020년 말 기준 81.76%의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인데 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 11번가 등이 주주사로 가세해 일부 지분율 변동은 있을 수 있다.
초록마을은 전국 400여개 매장을 보유하고 있는 신선식품 유통업체다. 대상그룹 계열사로 대상홀딩스(084690)가 49.1%,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전 부인인 임세령 대상 부회장이 30.17%, 임상민 대상 전무가 20.31%의 지분을 각각 보유하고 있다. 임창욱 대상그룹 명예회장의 두 딸이 많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초록마을 매각 자금은 승계 재원으로 활용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지난해 8월 초록마을이 매각을 공식화한 것은 신선식품 판매 경쟁이 심화된 것이 결정적이었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비대면 소비가 급증하면서 쿠팡과 마켓컬리 등이 적자를 감수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섰다.
반면 오프라인 유통이 주력인 초록마을은 IT 플랫폼 기술을 앞세운 경쟁사들과 치킨게임을 벌이기는 어려운 처지였다. 실제 초록마을은 신선식품 유통 시장이 온라인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실적 측면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2018년 영업손실 43억 원을 기록한 이후 2019년(49억 원)과 2020년(33억 원)에도 영업 적자가 이어졌다. 대상그룹은 최대 2,000억 원의 몸값을 원했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실적이 부진하고 사업 구조 개선이 요구되는 탓에 시장에서는 600억 원 수준으로 평가되기도 했다.
바로고는 초록마을 본연의 경쟁력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 국내 배달 대행 시장에서 압도적인 지위를 갖고 있는 만큼 초록마을의 유기농 신선식품을 주문 즉시 배달하는 사업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초록마을 매장이 전국에 분포해 있어 재고를 빠르게 소진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새벽배송'이 주력인 경쟁사들과 차별화하는 동시에 1인 가구와 영·유아 자녀를 둔 소비자의 수요를 맞춤형으로 공략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바로고는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할 상황도 고려하며 초록마을 인수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년 간 비대면 소비가 늘면서 활성화된 배달 시장에서 수혜를 입었지만 거리 두기가 완화되면 실적 상승세는 둔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배달 대행업에 신선식품 유통이 추가되면 사업 포트폴리오는 상당한 안정감을 확보할 수 있다.
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바로고가 최근 실적 성장과 외부 투자 유치 성공으로 자신감에 차 있다"며 "다른 신선식품 사업자들과 차별화된 포인트를 내세워 인수전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