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진자를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으로 나눠 치료하는 재택치료 체계가 지난 10일부터 시행됐지만 아직 현장에서는 혼선이 이어지고 있다. 일선 보건소의 업무 과중이 심해져 확진 판정을 받은 뒤에도 곧바로 보건소로부터 안내 연락을 받지 못했다는 환자들의 불만이 나온다. 일부 재택치료자들은 보건소와 연결이 되지 않자 24시간 기초 의료 상담을 제공하는 재택치료 의료 상담 센터에 폭언을 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16일 한 지방자치단체는 일선 구청에 “(최근 재택치료자들이) 의료 상담 센터에 폭언·갑질 행위 등을 해 업무에 방해를 받고 있다”며 “이러한 행위를 하지 않도록 반드시 고지해달라”고 안내했다. 일부 재택치료자들은 보건소 등 연결이 원활하게 되지 않자 24시간 상담이 가능한 상담 센터에 폭언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방역 당국은 아직 뾰족한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한 상황이지만 법적 조치 여부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재택치료 환자에게 의료 상담 이용 시 지켜야 할 행동 요령 등을 충분히 홍보하겠다”며 “폭언이나 위협이 심해질 경우 법적인 것(문제)에 해당하는지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선 방역 현장의 업무 과부화로 재택치료자들에게 안내가 늦은 경우가 이어지고 있어 문제 해결은 쉽지 않아 보인다. 11일 확진 판정을 받아 재택치료 중인 류근혁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한 라디오 방송에서 “차관이라고 해서 대우받은 것은 없고 의료기관에 약 처방을 받으려 몇 번 전화했는데 안 받아 다른 쪽에서 처방받았다”며 “재택치료 체계를 최대한 신속하고 자세히 안내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안내 방식을) 개선하고자 중앙사고수습본부에서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당국은 “역학조사 등 업무가 확진자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지만 고위험군 분류·관리와 병원 후송은 늦지 않도록 우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0시 기준 전국에서 총 26만 6040명이 재택치료 중이다. 의료기관으로부터 하루 2번 건강 모니터링을 받는 집중관리군은 9048명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