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가 악화되면서 국내 반도체 기업 공급망에 다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여기에 미국이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을 적용해 러시아에 대한 반도체, 통신 장비, 컴퓨터 등 핵심 제품에 대한 수출 통제에 나서면서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사업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28일 청와대 참모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공급망과 관련해 “기업과 핫라인을 구축해 수급 상황을 세밀하게 모니터링하라”며 “제3국 수입, 재고 확대, 대체재 확보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급 안정화를 기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실제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가스 등 원자재 조달에 빨간불이 켜졌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네온·크립톤·제논 등 희귀 가스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 의존하고 있다. 네온의 경우 수입액의 23%와 5%를 각각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서 들여오고 있다. 현재 네온가스 가격은 전년 대비 무려 200%나 급등했다.
중소 반도체 기업 대표는 “네온 재고가 거의 없으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공급사는 연락이 두절된 상태”라며 “중국 등으로 수입처를 다변화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다”고 토로했다.
이처럼 반도체 공급망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자 경계현 삼성전자 사장은 이달 초 미국을 방문해 거래처와의 면담을 포함해 상반기 착공될 예정인 테일러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설비 라인을 중점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대(對)러시아 제재가 본격화되면 삼성전자는 반도체 수출 시 미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반도체는 물론 스마트폰까지 전략물자에 포함되면 러시아 수출길이 아예 막힐 수 있는 상황이다.
공급망 차질은 자동차 업계로 전이되고 있다. 한국GM은 반도체 수급 불확실성으로 3월 생산계획안을 확정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독일 폭스바겐도 우크라이나에서 생산되는 배선 시스템을 구하지 못해 작센주의 츠비카우 공장 가동을 중단해야 하는 처지다. 배터리 기업들도 인도네시아 등 원자재 공급망 다변화에 나서고 있다. 러시아가 전 세계 니켈 매장량의 10%를 차지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사태로 니켈 가격은 20% 급등했다.
류성원 전국경제인연합회 산업정책실장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국내 기업의 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러시아·우크라이나에서 수입해온 원자재 물량을 다른 국가로 다변화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