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中 록다운’에도 끄떡없는 의류OEM주

동남아 생산기지 본격적 재개에

한세실업·영원무역 잇단 상승세

서구권 '脫중국' 추세 반사효과

美·유럽 소비 증가도 긍정 영향

F&F·한섬 등은 하락세 '대조적'


중국의 록다운 정책으로 중국 내 판매 비중이 높은 패션 업체들의 주가가 휘청이는 반면 동남아시아에 생산 기지를 둔 의류 위탁 생산 업체들은 투자자들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F&F(383220) 등은 주요 판매 거점인 중국의 코로나19 봉쇄령으로 공급망과 실적 타격 우려가 크다. 반면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들은 동남아 생산 기지가 본격적으로 재개되고 원청이 몰려 있는 미국과 유럽 등 서구권 수요가 살아나면서 주가가 우상향 중이다. 전문가들은 의류 OEM주가 호황 사이클에 진입했다며 당분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15일 의류 OEM 기업인 한세실업(105630)은 전일보다 10.23% 오른 2만 3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수급 주체별로 개인이 50억 원을 팔아 치운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2억 원, 37억 원씩을 사들이며 주가가 치솟았다. 또다른 OEM 업체인 영원무역(111770)도 이날 2.85% 뛰어올랐다. 반면 국내 대표 의류주인 F&F는 2.27% 내렸으며 한섬(020000)은 보합을 기록했다. 이달 들어 한세실업과 영원무역은 각각 4.64%, 6.12%의 상승률을 기록해 선전했지만 한섬과 F&F는 3.63%, 22.58%씩 내리며 부진했다.

위탁 생산 업체의 주가가 들썩인 이유는 크게 △수주 증가 △판가 인상 △비용 감소 등 세 가지로 요약된다. 국내 OEM 의류 수주 업황은 미국의 소비 지표와 의류 재고 상황에 좌우된다. 최근 미국의 소비 지표 상승이 가파른 가운데 재고 증가는 이에 미치지 못해 업황은 긍정적인 상황이다. 올해 연간 소매 판매 성장률도 유럽과 미국이 각각 10%, 8%로 중국(3%)보다 압도적으로 높다.

브랜드들의 재고 확보 수요가 커지다 보니 단가도 상승세다. 지난해 상반기 마이너스대였던 글로벌 의류 단가 성장률은 하반기부터 플러스로 돌아섰다. 지난해 4분기에는 10%대에 이르며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또한 코로나19로 봉쇄됐던 베트남 등 동남아의 생산 공장도 방역 완화에 수율이 개선되면서 비용이 감소하는 추세다. 특히 국내 OEM 업체들은 지난 2010년 후반부터 수직계열화를 본격화하면서 원가 절감 및 본업인 봉제와의 시너지 효과 창출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누리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달러 강세에 따른 실적 풍선 효과, 서구권 경기 개선으로 인한 낙수 효과, 서구권의 탈중국으로 인한 동남아 반사 효과 등까지 대외 환경도 국내 업체들에 우호적으로 조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OEM주에 대한 호황기 여건이 갖춰졌다며 앞으로 투자를 늘릴 것을 권했다. 메리츠증권은 한세실업·영원무역·화승엔터프라이즈 순으로 ‘바스켓 매수’를 추천했다. 특히 한세실업은 미국 매출 비중이 85%로 세 업체 중 가장 높아 미국 의류 판매 강세에 따른 수주 증가 수혜를 누릴 것으로 전망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한세실업의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는 지난해보다 25.9% 늘어난 1320억 원이다. 3개월 전 전망치(1183억 원)보다 10% 이상 높아졌다. 같은 기간 영원무역의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도 3542억 원에서 4225억 원으로 늘었다.

반면 국내 의류 브랜드들은 최대 시장인 중국의 봉쇄령에 표정이 밝지 못하다. 이달 13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중국 선전시는 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주민에게 외출 금지령을 내리고 도시를 봉쇄했다. 코로나19로 1선 도시(베이징·상하이·광저우·선전 등 4대 도시)가 봉쇄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후 바뀐 외교정책에 따른 ‘한한령’ 우려도 주가 약세에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중국향 패션 대장주’인 F&F는 이날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200억 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까지 체결했지만 분위기를 되돌려 놓는 데는 실패했다.

오린아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선전시의 록다운 등으로 중국 소비주의 오프라인 매장 영업 차질, 물류와 통관 지연, 소비 위축 우려가 번졌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