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접종, 재난지원금, 여론조사 등을 내세워 개인 정보를 탈취하는 등 보이스피싱 수법이 나날이 진화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전체 피해 금액은 줄었지만 메신저를 이용한 피싱 피해가 지속적으로 늘고 증권사 피해도 급증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이 총 1682억 원을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전년(2353억 원)보다 28.5% 줄어든 수준이다. 피해 금액은 줄었지만 사기 수법은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코로나19 관련 백신 접종, 재난지원금, 대선 여론조사 등 사회적 관심사를 이용한 사기 수법이 발생한 게 대표적이다. 백신 접종 예약 인증, 방역 증명서 발급 등을 내세워 악성 URL 주소를 보낸 뒤 원격조종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유도한다. 또 대통령(지방)선거용 여론조사라고 속이고 개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사기 수법도 있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채널 이용이 늘어나며 메신저를 통한 사기 피해액은 전년보다 165.7% 늘어난 991억 원에 달했다. 최근 비대면 계좌 개설이 늘고 오픈뱅킹이 보편화되면서 증권사를 통한 보이스피싱 피해도 급증하고 있다. 은행의 피해액은 전년보다 38.1% 줄어든 1080억 원을 기록한 반면 증권사 피해액은 220억 원으로 전년보다 144.4% 뛰었다. 연령별로는 40·50대가 피해액의 절반가량(52.6%)을 차지했다.
금감원은 메신저 피싱, 신종 사기 수법 등에 따라 소비자 경보를 발령하는 등 피해 확산을 예방하는 데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금융 앱에서 원격조종 앱 구동을 차단하는 기술을 도입하도록 유도하고 금융회사들이 의심거래탐지시스템(FDS)에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접목해 의심 거래 정황을 포착하도록 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