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산업이 국내 콘텐츠 산업 가운데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데 반해 제대로 된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국책연구원의 지적이 나왔다. 5개 부처로 나뉜 주무 부처를 일원화하고 연구개발(R&D) 강화에 대한 지원을 늘려 정체된 광고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도 잇따르고 있다.
8일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광고 산업의 디지털 경쟁력 제고를 위한 연구개발 강화’ 보고서에서 “광고는 인력에 의존하는 대표적 창조 산업으로 일자리 창출 등 다른 산업 분야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높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또 “디지털 콘텐츠는 국가 경쟁력의 핵심 영역으로 대두되고 있다”면서 “광고 산업에서 풍부한 경험을 갖춘 전문 인력은 디지털 콘텐츠의 어느 산업에 진출하든 적응이 가능하고 새로운 혁신을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콘텐츠 산업 종사자 66만 7437명 중 광고 산업 종사자는 10.8%(7만 827명)에 달한다. 출판업과 지식 정보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숫자다. 특히 2014~2018년 광고 산업 종사자 증가율은 연평균 10.8%로 같은 기간 전체 콘텐츠 산업 종사자 증가율(2.0%)의 다섯 배에 달한다. 디지털 광고 분야 종사자의 경우 연평균 증가율이 10~20% 수준이다.
하지만 한국의 광고 산업 성장률은 지난해 4%대 성장에 머물렀다. 전 세계 광고 산업 성장률이 지난해 5.8%에 이어 올해 6.9%로 전망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보고서는 현재 광고 산업 진흥 업무가 문화체육관광부·중소벤처기업부·행정안전부·방송통신위원회 등 5개 부처에 나뉘어 있다며 정책 일관성과 효율적 집행을 위해 주무 부처를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거의 해체되다시피 한 광고 기업의 R&D 조직을 되살리는 한편 국내외 박사급 인력을 포함한 우수 인재 채용을 늘릴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