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이 전기차 전환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공급망과 관련해 우리나라와 유럽이 힘을 합쳐 공동 대응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정만기(사진)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회장은 10일(현지 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유럽자동차협회(ACEA)와 가진 정례 협의에서 “한국 업계는 원자재 수급 부족에 따른 부품 공급과 생산 차질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며 “한국은 전기차 핵심 원자재에 대한 중국 의존도가 높아 전기차 시대에 부품이나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업계가 큰 위기에 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 세계 가공 리튬 생산의 58%, 니켈 생산의 35% 등 전기차 핵심 원자재 대부분을 중국이 독점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은 희토류의 35%, 소재·부품의 88%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정 국가에 대한 전기차 원부자재 의존의 심화가 전기동력차의 생산 위기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급박한 전기차 전환에 대한 발걸음을 조절하자는 게 정 회장의 의견이다.
에릭마크 휘테마 ACEA 사무총장은 “우크라이나산 와이어링 하네스 부족에 따라 자동차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고 러시아산 소재·부품·에너지 등의 수입 중단 등으로 산업 전반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강조했다. 유럽 역시 자동차 부품 조달과 관련해 우크라이나·러시아에 대한 높은 의존도가 자동차 산업 회복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라고 지적한 것이다.
이에 양측은 유럽의 경우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한국의 경우 중국에 대한 높은 부품 의존도가 생산 불안의 큰 원인이라는 데 동의하면서 전기차 시대 공급망과 관련해 한국과 유럽 간 공동 대응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특히 양측은 공급망 위기에 대응해 전기차 시대로의 전환에 대한 속도 조절은 물론이고 바이오 연료, 이퓨얼(e-fuel), 수소차, 전기차 등 자동차 동력원 관련 전기 동력과 내연기관 기술 간 기술 중립성 유지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면서 이러한 의견을 양측 정부에 공동으로 건의해가기로 했다.
이 외에도 양측은 한국의 수입 자동차 시장에서는 독일산 등 유럽 업체들의 시장점유율이 확대 추세에 있고 유럽 수입 시장에서는 한국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이 높아지는 현상에 대해 자동차 시장에서의 상호 교역 확대 현상이라고 인식하면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