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를 웃돌던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금리 상단이 6%대 중반대로 떨어졌다. 정부와 정치권이 연이어 ‘이자장사’에 대한 경고하면서 은행의 부담이 커지면서 은행들이 개별적으로 금리 인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연말까지 은행들의 ‘대출 문턱 낮추기’ 노력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담대 혼합형(고정형) 금리는 지난 24일 기준 연 4.750∼6.515% 수준이다. 지난 17일 4.330∼7.140%였던 것을 고려하면 불과 1주일새 상단이 0.625%포인트(p) 떨어진 셈이다. 주담대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현재 연 3.690∼5.781%다. 1주일 전(3.690∼5.681%)보다 상단만 0.100%p 인상됐다. 신용대출은 1등급, 만기 1년을 기준으로 3.871∼5.860%다. 17일의 3.771∼5.510%에서 하단이 0.100%p, 상단이 0.350%p 각각 올랐다.
업계에서는 은행들이 금리를 조정하면서 주담대 금리 상단이 떨어졌다고 봤다. 우리은행이 24일부터 은행채 5년물 기준 고정금리 대출에 적용하던 1.3%p의 우대금리를 모든 등급(8∼10등급 추가)에 일괄적으로 주기로 한 점이 대표적이다. 기존에는 은행 자체 신용등급 7등급 이내에만 제공됐다. 우리은행 전체 등급의 가산금리가 1.5%p씩 낮아진 것과 같은 효과다. 주담대 고정금리의 지표로 주로 사용되는 은행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도 같은 기간 4.147%에서 3.948%로 0.199%p 낮아졌다.
은행권에서는 이 같은 금리 인하 움직임이 앞으로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 당국이 연일 은행의 공적 기능을 내세워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23일 연구기관장들과 간담회에서 “은행은 상법에 따른 주주 이익뿐만 아니라 공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이 법과 헌법 체계에 있다”며 “주주의 이익을 대표하는 은행 등 1금융권 경영진도 그 뜻을 같이하고 있기 때문에 금리 상승기에 (금리) 인상 폭과 속도에 대해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금리 상승기 대출자의 이자 부담 경감을 위해 대출 기간을 늘린 40년 만기 주담대, 10년 만기 신용대출이 더 많은 은행에서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금리 상승기에 대출자의 부담을 덜고 새 정부의 금융개선 정책에 부합하는 가계대출 정책을 고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