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김 모(37)씨는 최근 서울의 한 의원에서 코로나19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RAT)를 받았다. 회사 옆 부서에서 확진자가 발생해서다. 김 씨는 목이 아프거나 기침을 하는 등의 증상이 없었지만 어린 자녀를 두고 있어 선제적으로 검사를 받은 것이다. 다행히 음성 판정을 받았는데 검사비가 5만 원이라는 말을 듣고는 적지 않게 당황했다. 5000원 정도를 예상했기 때문이다.
25일 방역 당국에 따르면 코로나19 유증상자나 60세 이상 고령층,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자, 자가검사키트 등으로 양성이 확인된 자 등은 병원이나 의원에서 RAT를 받을 경우 검사비로 5000원을 부담하면 된다. 하지만 무증상자가 진료비를 전액 부담해야 한다. 검사비는 적게는 3만 원에서 많게는 5만 원에 달한다.
문제는 무증상자의 검사비 부담이 검사 회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김 씨는 “애가 없다면 검사를 받지 않았을 것”이라며 “확진 판정을 받아도 아무런 혜택이 없는 데다 어차피 내 돈 내고 감기약을 먹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굳이 5만 원 내고 확진 받을 이유가 없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무증상 감염은 전체 감염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이들 중 무증상자의 비율은 30~4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꿔 말하면 검사 비용에 부담을 느껴 코로나19 검사를 받지 않는 무증사가 늘어났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재유행을 막기 위해서는 무증상자 검사 비용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한 관계자는 “코로나19 검사를 회피하게 되면 고위험군 접촉자의 경우 위험에 빠지게 될 수 있다”며 “검사비 지원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