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치료할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했다. 이 물질로 신약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포항공대(포스텍)는 김경태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노브메타파마와 함께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신약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물질인 ‘페록시솜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PPAR) 활성화 물질’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뇌 조직에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만들어져서 발병한다. 단백질이 염증을 일으켜 신경세포를 손상시킴으로써 환자의 인지력과 기억력이 떨어지는 것이다.
연구팀은 제3형 당뇨의 치료 표적인 PPAR에 주목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당뇨의 연관성이 최근 학계에 보고됐기 때문이다. 지방이 과하게 쌓여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면 대사 작용 이상으로 당뇨가 생기는데 이때 발생하는 만성 염증이 뇌에도 영향을 미쳐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같이 올 수 있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제3형 당뇨의 공통 발병 원인이 있다는 것이고 그 원인은 PPAR과 관련됐다는 것을 연구팀이 밝혀냈다. 약물 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PPAR을 활성화하는 물질을 개발해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걸린 쥐를 대상으로 3개월간 이 물질을 경구투여한 결과 쥐의 인지력과 기억력이 정상 쥐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뇌의 염증도 줄었다.
김 교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로 고통받는 환자에게 큰 도움이 될 연구 성과”라며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치료 약물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뉴로테라퓨틱스’에 8월 2일 게재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