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노동 공급이 청년층과 고령층을 중심으로 구조적으로 증가하면서 일하려는 사람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은 고학력자 비중이 늘고 미혼 여성 비중이 늘어나는 등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주로 작용한 반면 고령층은 생활비 부족이나 자산불평등 확대 등 재정적 문제 때문에 일터로 내몰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3일 한국은행 조사국 소속 송상윤 과장과 배기원 조사역이 작성한 ‘노동공급 확대 요인 분석: 청년층과 고령층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제활동참가율은 2009년 4분기 60.9%로 저점을 기록한 뒤 2022년 2분기 64.0%까지 상승하면서 노동공급이 추세적으로 늘고 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실업자 등 경제활동인구 비율을 말한다.
우리나라 노동공급 확대 양상은 연령에 따라 차별화된 모습이다. 지난해 청년층(15~29세)과 고령층(60세 이상)의 경활률은 2010년 대비 각각 4.0%포인트, 7.3%포인트씩 상승했다. 반면 핵심노동연령층(30~59세)은 2014년 이후 보합세를 보이면서 2.0%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연구진은 청년층 노동공급이 확대된 이유로 먼저 실업자가 될 가능성이 낮고 경제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4년제 대학 졸업 이상 고학력자 비중이 2014년 19.3%에서 2022년 상반기 22.1%로 늘었다. 20~29세 연령대 여성의 미혼 비율이 2015년 71.7%에서 2022년 상반기 85.1%로 13.4%포인트 증가했다. 주거비용 상승에 생활비 부담, 금융부채 증가 등으로 청년층 가구주가 노동시장에서 이탈할 수 없는 상황이다.
고령층은 생활비 부족 등 재정적 사유로 계속 일하기를 바라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나이와 직업 유무에 관계없이 계속 일하기를 희망하는 인구 비중은 2015년 53.0%에서 2021년 62.6%로 상승했다. 고령층 가구 간 자산불평등 확대도 상대적으로 빈곤해진 계층의 노동 공급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공공부문 노인일자리도 늘어나면서 민간 부문에서 취업이 어려운 취약계층의 노동공급을 증가시켰다.
연구진은 청년층 노동 공급이 중장기적으로 지속 확대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가 경제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송 과장은 “출산에 대한 경제적 지원 확대, 어린이집 설치 의무화 기준 변경 등을 통해 청년층 여성이 결혼·출산 후에도 직업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며 “고령층 노동공급도 지속 확대될 것으로 보이므로 경제 전반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