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 문화의 계보 연구에 천착해온 ‘음식국학자’인 저자가 우리 역사 2000년 간의 술과 술안주, 음주 문화를 정리한 책이다. 저자의 해설은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부여에는 ‘영고’, 고구려는 ‘동맹, 예는 ’무천‘이 있는데 하늘에 제사를 지내며 음주가무 한다”(후한서), “백제가 음양오행법을 안다”(주서)
즉 우리 민족은 음식을 차리고 제사 후에는 음복연이 있어 술을 마시고 춤을 추며 밤낮으로 즐겼다. 이런 음복연은 이후 연향(宴饗, 잔치를 베풀고 손님을 접대하는 것) 문화로 발전하고, 이는 1910년 일제강점 이전까지 계승됐다고 설명한다. 현대의 음주문화가 오랜 시간의 연속성 안에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술과 함께하는 우리 연회 문화의 뿌리는 음양사상이 깃든 유학 정신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후 도교와 불교 등과도 융합된다.
유학의 음양사상을 끌어와 술은 정신(양)을, 안주는 육체(음)를 각각 대변한다고 해석했다. 양(술)과 음(술안주)이 결합해야 비로소 주도(酒道)가 완성된다. 술을 마시는데 있어서 ‘도’란 만드는 사람의 노고를 생각하고 깨달아 겸손하고 상식적으로 살아감을 터득하는 것이다.
저자는 “술마심의 의미는 영혼을 살찌게 하는 것이 본래 목적”이라고 단언한다. 4만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