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글로벌 금융 불안에 대응할) 정책적 선택지가 넓지 않다”며 “관계 기관과의 공조와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21일 방기선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서울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에 참석해 이 같이 말했다.
방 차관은 현재 글로벌 경제가 실물 시장과 금융 시장이 상호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위험에 직면했다고 평가했다. 방 차관은 “1997년, 2008년 금융 위기는 금융 시장 그 자체에 내재된 취약성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이번 불안은 공급망 교란·공급구조 개편·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원자재 가격 급등 등 실물 부문의 충격에서 비롯됐다”며 “이렇게 실물 부문에서 파급된 금융시장 불안이 언제든지 다시 실물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해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가파른 통화 긴축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가중되는 상황에서 코로나19 극복 과정에서 급격히 늘어난 신흥국 부채 문제까지 맞물려 세계 경제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글로벌 금융 안정을 위한 국가 간 정책 공조가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역시 글로벌 금융 시장이 인플레이션·늘어난 부채·기후변화 위험의 현실화 등 여러 리스크에 직면했다고 평가했다.
김 부위원장은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크게 팽창된 유동성에 의해 늘어난 부채와 자산 가격 상승이 세계 경제의 불안 요인으로 다가오고 있다”며 “글로벌 인플레이션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국의 통화 긴축 가속화는 글로벌 경기 침체 및 저소득국의 채무 상환 부담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 자산의 급속한 발전, 기후변화 위험의 현실화에 따른 금융 환경의 변화 및 이에 대응도 선제적으로 검토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 금융 체제를 강화할 방안을 모색하고 시장 안정을 위한 국가 간 정책 공조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G20 회원국과 정책 담당자, 경제·금융 분야 석학이 모여 글로벌 금융 시장의 위험 요인을 진단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열린 행사다. 정부는 이번 행사에서 나온 제언을 검토해 다음 달 열릴 G20 재무장관회의와 11월 정상회의 의제로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