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위기와 자원 고갈 위험에 직면한 기업들이 순환 경제로 문제를 해결하고 새 시장을 개척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이 제언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산업통상자원부, 삼일PwC와 공동으로 5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연 ‘제11차 대한상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포럼’에서 순환경제 등 최근 ESG’ 현안과 시사점을 논의했다.
순환경제는 원료, 생산, 사용, 재자원화 등 제품 순환 과정에서 자원의 이용 가치를 극대화하는 새로운 경제 체제다.
‘순환경제 국내외 동향과 과제’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 김고운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기후 위기와 자원 고갈 문제는 인류의 미래를 위협하는 핵심 문제이자 현재 우리 기업들이 당면하는 어려운 과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원을 재활용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과 원자재 확보를 모두 이룰 수 있는 순환 경제를 기업들이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순환경제는 제품의 생산, 소비, 폐기 전 과정을 다루기에 탄소중립의 현실적인 해결방안이라 할 수 있다”며 “폐플라스틱, 폐배터리 등 재활용 산업도 향후 엄청난 규모로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우리 기업들에는 탄소배출 감축과 새로운 시장 개척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순환경제는 제품 개발과 디자인 단계부터 국가 전반의 탄소 감축을 앞당길 수 있고 원자재 확보 및 폐기물 처리로 수익을 낼 수 있어 탄소중립과 기업 성장을 모두 달성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최우석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은 “탄소중립 달성과 원료의 안정적 수급 측면에서 순환경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정부도 기업들이 순환경제를 새로운 성장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 세제·금융 지원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