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창업기업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5만개(4.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로 스타트업 투자가 냉각된 가운데 창업 열기까지 식고 있다는 분석이다. 경기가 둔화 영향으로 기업들의 경영 여건이 악화되면서 적자에 빠진 중소기업들도 늘고 있다.
30일 중소벤처기업부의 ‘창업기업 동향’에 따르면 올해 1∼9월 전체 창업은 101만9397개로 나타났다. 전년동기 대비 4.6%(4만9601개)가 감소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고환율·고금리 영향으로 제조업과 건설업 창업이 줄어든 탓이다.
특히 부동산업 창업은 27.3% 줄었고 숙박·음식점업의 경우 4.7%, 기술기반업종은 2.4% 각각 감소했다. 부동산업 창업은 지난 2020년 임대사업자 등록이 몰린 기저 효과로 지난해 35.5% 감소에 이어 올해도 25% 이상 줄었다. 건설업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과 건설 자재 가격 상승, 집값 하락,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 등의 요인과 건설업 생산체계 개편 완료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4.5% 감소했다.
기술기반 창업기업 중에는 거리두기 전면 해제 영향으로 창작·예술·여가업이 22.3% 늘었지만 제조업은 12.2%, 과학기술 분야는 6.7% 줄었다. 제조업은 원자재 가격이 지속 상승하고 환율·금리 상승 등의 경영환경이 불안 요인으로 작용한 데 따른 것으로 중기부는 진단했다.
다만 올해 1~9월 부동산업을 제외한 실질적인 창업기업은 84만6000개로 지난해 동기보다 1.9% 늘었다. 전자상거래 등 비대면 사업 활성화로 도소매업 창업기업도 8.1% 증가했다. 금리 상승 등에 따른 투자 비용으로 오프라인 매장보다 무점포 소매업이 꾸준히 늘었기 때문이다.
연령별로는 부동산업 창업이 25%이상 감소하면서 30대(0.5%)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창업이 줄었다. 다만 부동산업 제외 시, 30세 미만(3.4%) 및 50대(0.1%) 연령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창업이 늘었다. 기술창업은 3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감소했다.
경기 둔화는 중소기업의 수익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중소기업 중 결손기업 비중은 38.9%로 조사됐다. 기업 10곳 중 4곳은 적자를 보면서 영업을 계속했다는 의미다.
결손 비중 흐름을 보면 2017년 33.3%에서 2018년 34.5%, 2019년 36.1%, 2020년 37.1%, 2021년 38.9%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특히 지난해에는 코로나19에 따른 방역조치와 집합금지 정책으로 4년래 가장 높은 증가율(1.8%p)을 기록했다. 이 여파로 결손 중소기업 수치도 2020년 28만2675개에서 2021년 32만3951개로 6만9612개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음식·숙박업의 결손기업 비중이 62.4%에 달해 코로나와 경기 둔화의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분석됐다. 음식·숙박업체의 결손기업 비중은 2020년 48.6%로 절반이 안 됐지만 지난해 코로나19 상황이 최악으로 치달으면서 1년새 13.8%p(포인트)나 급등했다. 부동산(50.3 %), 전기·가스·수도업(48.7%), 서비스업(46.7%) 등의 타 업종 보다 월등히 높았다.
전문가들은 음식·숙박업종의 경우 올해도 경영 여건이 크게 개선되기는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물가가 치솟으면서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지난 9월 국민 100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서 응답자 59.7%가 하반기 소비 지출을 상반기 대비 줄이겠다고 답했다. 지출을 줄일 대상으로는 음·식료품(28.4%)을 1위로 꼽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