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처리수가 반도체 공업용수로 재이용된다.
환경부는 30일 경기도 화성시 삼성전자 화성캠퍼스에서 하수처리수 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환경부·한국수자원공사·한국환경공단, 경기·수원·용인·화성·평택·오산과 삼성전자가 함께 하수처리수를 공업용수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민관은 수원, 용인 수지 및 기흥, 화성 동탄, 오산 등 5개 하수처리시설의 처리수를 재생해 반도체 생산 등을 위한 공업용수로 공급할 수 있도록 협력할 계획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5개 하수처리장에서 공급하는 공업용수는 하루 약 47만4000톤이다. 이는 국내는 물론 세계 최대 규모로 광주광역시 시민들이 하루에 쓰는 수돗물의 양 48만4000톤과 맞먹는다
환경부는 하수처리수 공급이 댐 용수 공급을 대체해 연간 1억7000만톤의 용수 여유량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지자체가 기업으로부터 공급 비용을 받을 수 있어 재정에 도움이 되고, 기업 역시 물 공급 제한 등 비상시 경영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이번 하수 재이용수 광역 공급계획을 계기로 향후 충남 서부, 전남 남부 등 가뭄 취약 지역에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환경부 주관 아래 광역 단위의 민관협의체를 구성·운영하고, 하수 재이용 정보 플랫폼을 구축해 관련 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이번 협약으로 지속가능한 공업용수 공급뿐 아니라, 물 여유량 확보도 가능해질 것"이라며 "극한가뭄 등 기후변화로 인한 물 부족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하수 재이용사업을 확대하는 한편, 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초순수 기술개발에도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