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 둔화, 자금 시장 경색 등으로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국내 대기업 중 절반가량이 아직 내년도 투자 계획을 세우지 않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달 17~25일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내년 국내 투자 계획을 물은 결과 응답 기업(100개 사) 중 10.0%가 ‘내년도 투자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고 5일 밝혔다. 또 38.0%는 ‘아직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고 대답했다.
투자 규모를 늘리기 어려운 이유로는 ‘금융시장 경색 및 자금 조달 애로(28.6%)’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원·달러 환율 상승(18.6%)’ ‘내수시장 위축(17.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투자 계획을 수립한 52.0%의 내년도 투자 규모는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응답이 67.3%로 가장 많았다. 19.2%는 투자를 축소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답한 13.5%를 웃도는 수준이다. 투자 활성화 시점에 대해서는 ‘2023년 하반기(29.0%)’ ‘2024년 상반기(24.0%)’ ‘2024년 하반기(11.0%)’로 64.0%가 내년 하반기 이후를 예상했다. ‘기약 없음’이라는 답변도 26.0%였다.
기업들이 꼽은 투자 관련 핵심 경영 리스크는 ‘글로벌 경기 둔화(29.1%)’와 ‘환율 상승세 지속(21.3%)’이었다. 국내 기업은 상대적으로 무역의존도가 높은 만큼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와 고환율로 인한 수입 비용 증가가 투자 여력 반감으로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이 밖에 응답 기업들은 고물가(15.3%), 글로벌 긴축과 금리 상승 지속(15.3%), 과도한 민간부채와 금융시장 부실화(9.7%) 등도 투자 활동을 어렵게 하는 주요한 위험 요인으로 지목했다.
기업들은 경영 불확실성의 파고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구했다. 기업들은 국내 투자 활성화를 위해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24.6%)’을 정부에서 책임져야 할 첫 과제로 꼽았다. 이어 ‘자금조달 시장 활성화(22.0%)’ ‘기업 규제 완화(14.7%)’ ‘법인세 감세, 세제 지원 강화(13.7%)’ 등을 언급했다.
이와 함께 전경련이 국내 주요 수출 기업 1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42%는 자금조달 상황 개선 시점에 대한 질문에 ‘당분간 개선되기 어렵다’고 응답했다. 이어 내년 4분기(25%), 내년 3분기(23%) 등의 순이었다. 적어도 6개월 이상 자금 사정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응답이 전체의 90%에 달했다. 내년 상반기 안에 자금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10%(내년 1분기 7%, 2분기 3%)에 그쳤다.
응답 기업의 29%는 지난해 대비 현재 ‘자금조달 사정이 악화했다’고 밝혔다. ‘원활하다(18%)’고 답한 기업보다 11%포인트 높다. 업종별로 보면 철강(50%), 일반기계(44.5%), 자동차(33.3%)는 평균보다 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가장 애로를 느끼는 자금 조달 방식은 은행 대출(43.4%), 내부 자금 조달(21.4), 회사채 발행(14.3%), 정부 지원금(14.0%) 순이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단기 자금 시장 경색이 쉽게 풀리지 않고 기업대출금리 상승 폭이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상황”이라며 “금리 인상에 신중을 기하는 동시에 일시적으로 자금 경색에 처한 기업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