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카카오 먹톡 사태와 관련한 회사들에게 재발방지대책과 이용자 피해보상 계획을 마련해 1개월 내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6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 ‘디지털서비스 장애 조사결과 및 시정조치 요구’ 브리핑을 열고 “카카오, SK C&C, 네이버 3사에게 1개월 내 주요 사고원인에 대한 개선조치와 향후 계획을 수립해 보고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카카오에 크게 세 가지 서비스 다중화, 재난 대비 훈련, 이용자 피해 구제 계획을 세우고 이행할 것을 요구했다. 보고받은 내용을 반영해 내년 1분기 정보기술(IT) 업계 전반의 디지털 서비스 안정성 확보 종합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서비스 다중화’는 데이터뿐 아니라 이를 활용해 서비스를 구현할 개발자 도구(운영 및 관리 도구)도 높은 수준으로 다중화하라는 요구다. 다중화는 서버를 복수로 운영함으로써 한 서버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예비 서버로 서비스를 이어가는 것을 말한다. 카카오는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의 다중화 조치를 했었지만 데이터를 다룰 개발자 도구를 다중화하지 않아 장애 복구가 늦어졌다.
‘재난 대비 훈련’은 데이터센터 전소 등 최악의 상황을 대비한 훈련 계획을 수립하고 모의 훈련을 실시해 보고하라는 요구다. 카카오는 그동안 이런 훈련을 하지 않았다. 과기정통부는 카카오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해 직간접적 피해를 입은 이용자에 대한 보상 계획을 수립하라는 ‘이용자 피해 구제’ 요구도 했다.
한편 카카오는 7일 개발자 콘퍼런스 ‘이프 카카오’를 통해 서비스 장애 재발방지를 위한 기술적 대책을 발표하는 만큼 과기정통부의 요구 이행계획도 일부 담길 전망이다.
과기정통부는 SK C&C에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BMS) 강화, 배터리실 내 전력선 재배치 등 데이터센터 화재 대응력 강화를, 네이버에도 재난 모의훈련 실시 등을 주문했다. 과기정통부는 화재 당시 BMS가 제역할을 못 했다는 점에 주목, 열화상 카메라 등 다중 감지 시스템을 사업자가 도입토록 하는 등의 화재 대응력 강화 방안을 내년 1분기 종합대책에 포함시킬 계획이다. 소방청은 데이터센터에 특화된 화재 대응 매뉴얼을 내년 초 마련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