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과 한국은행의 시장안정화 조치로 채권시장이 지난해 급한 불을 껐지만, 연초부터 단기금융시장 중심의 자금시장 불안이 재부각될 전망이다. 1월에만 22조원에 달하는 증권사 CP(기업어음)와 부동산 PF-ABCP(프로젝트파이낸싱 자산유동화어음)의 만기가 도래하면서 차환 리스크가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1월에만 증권사 CP는 약 6조원, PF-ABCP는 약 17조원의 만기도래분이 있다. 이중 PF ABCP의 경우 2월과 3월에는 각각 10조 원과 5조 원어치의 만기가 돌아온다. 1~2월에 PF ABCP의 만기가 집중적으로 몰려 있는 이유는 지난해 10월~11월 자금시장 경색이 극심해지자 보통 3~6개월인 PF ABCP 만기를 1~2개월로 줄여서 투자 자금을 유치했기 때문이다. 증권사 CP도 2월 8조 원, 3월 4조 원 규모로 만기를 맞는다. 올해 2월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증권사 CP와 PF-ABCP는 약 40조원에 육박한다. 증권사 발행 CP는 물론이고 PF ABCP가 원활히 차환되지 못하면 증권회사와 건설사를 중심으로 유동성 부담이 다시 커질 가능성이 크다.
고삐풀린채 치솟던 CP금리 상승세는 지난 12월 초를 기점으로 다소 누그러졌다. 지난해 9월말 레고랜드 사태 이후 PF-ABCP 발행이 어려워지고, 10월 중반부터는 증권사들이 투자자를 찾지 못해 지급보증한 PF-ABCP의 떠안는 사례가 계속 발생하면서 CP 금리 상승폭이 확대됐다. 이후 정부와 한국은행의 대규모 유동성 공급 대책으로 CP 금리는 91일물 A1 등급 기준 12월 9일 5.54%에서 12월 30일 5.21%로 하락했다.
다만 CP의 주요 투자처인 증권사 신탁, 일반형 MMF 등에서의 추가 자금유출 압력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1월 채권시장에서 가장 경계할 부분은 증권사 및 PF-ABCP의 원활한 차환 발행 여부"라며 "주요 등급별 CP 금리 상승이 제한되고 있지만, 하락 전환 기대도 그리 높지 않다"고 말했다.
보다 근본적으로 부동산 경기를 전망하는 가늠자로 여겨졌던 둔촌 주공 재건축 단지의 분양 성적이 시장 예상보다 저조하면서 우려가 커진 상태다. 최종 분양 성적에 대한 우려로 차환이 안 되거나 상환 능력을 갖추지 못할 경우엔 연초 신용 시장 전반의 위기로 리스크가 전이 될 수 있다. 최근 3대 신용평가사(나이스신용평가·한국기업평가·한국신용평가)는 롯데건설과 태영건설의 무보증회사채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일제히 하향했다. 증권사의 경우 신용평가사 3사 모두 내년 등급 전망을 일제히 ‘부정적’으로 제시했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하반기만큼의 대혼란이 펼쳐질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도 내놓는다. 안 연구원은 "정부와 한은의 대응이 이뤄지고 있고, 추가 금융불안 시 대응 강도를 높일 여력도 남아있다"며 "오히려 원활한 차환 발행 기조가 확인된다면 채권 투자심리 개선세를 강화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