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가 둔화 국면에 진입했다는 정부 진단이 나왔다.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처음이다. 수출 감소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고물가 장기화로 소비 활력까지 떨어진 탓이다.
기획재정부는 17일 발표한 ‘2월 경제동향(그린북)’에서 “물가가 높은 수준을 이어가는 가운데 내수 회복 속도가 완만해지고 수출 부진 및 기업 심리 위축이 지속되고 있다”며 “경기 흐름이 둔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6월부터 지난달까지 8개월 연속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던 정부가 이달에는 ‘경기 둔화가 시작됐다’며 보다 비관적인 진단을 내놓은 것이다.
수출 부진이 여전한 상황에서 민간 소비까지 감소세로 전환하자 정부가 경기 둔화를 공식화한 모습이다. 이승한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그간 소비는 괜찮았지만 수출이 꺾여 경기 둔화가 우려된다고 표현해왔다”며 “그런데 최근에는 소비마저 주춤한 모습을 보이면서 경기 둔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판단을 바꿨다”고 말했다.
실제 고물가 장기화로 실질소득이 줄자 지난해 4분기 민간 소비는 전기 대비 0.4% 감소했다. 2개 분기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한 것이다. 가전제품과 의류 등 재화 소비는 물론 코로나19 방역 해제 이후 소비 증가세를 이끈 숙박·음식점 등 서비스 소비까지 부진했던 영향이다.
문제는 당분간 소비가 쉽사리 활력을 찾기 어렵다는 점이다. 공공요금 인상으로 지난달 물가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5.2%를 기록, 3개월 만에 상승 폭이 커졌다. 특히 원·달러 환율까지 치솟아 가뜩이나 중국의 경제 재개(리오프닝)로 원자재 가격이 뛰는 상황에서 기업의 채산성 악화와 수입 물가 상승 등도 우려된다. 이 같은 이유로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 전망치를 기존 3.1%에서 2.8%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수출 감소 폭이 한층 커진 것도 정부 우려를 키운다. 지난달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6.6% 줄어 직전 달인 지난해 12월(9.5% 감소)보다 실적이 악화했다. 반도체(45% 감소) 등 정보기술(IT) 품목 실적이 예상보다 더 나쁘다. 정부는 “확고한 물가 안정 기조 하에 수출·투자 활력을 높이기 위해 총력 대응하겠다”며 “경제 체질 개선 및 대내외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세계 경제에 대한 진단은 ‘하방 위험 지속’에서 ‘불확실성 지속’으로 소폭 개선됐다. 중국 리오프닝과 미국과 유럽 등에서 커지고 있는 경제 연착륙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도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7%에서 2.9%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