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엔터테인먼트(에스엠(041510)) 경영권 분쟁이 폭로전으로 치달은 후 하이브(352820)와 SM엔터 현 경영진 간의 공방이 연일 계속되고 있다. 양측의 난타전은 앞으로도 계속되고, 지분 확보를 위한 여론전 역시 더욱 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오전 박지원 하이브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며칠간의 소식들은 과거사일 뿐”이라고 밝혔다. 이어 “CTP를 통해 역외 탈세가 이뤄지는 운영 방식은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시나리오”라며 “해외 프로듀싱 및 해외 자회사들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이전은 없다”고 못 박았다.
SM엔터는 이날 오후 즉시 반박문을 통해 “CTP는 이수만 전 총괄프로듀서의 지시로 SM엔터가 아닌 해외 레이블사와 직접 계약을 체결했기 때문에 하이브가 계약 종결을 할 수 없다”며 “CTP의 본질적 문제인 역외 탈세 의혹을 왜곡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하이브가 CTP를 인지했다면 역외 탈세 의혹을 동조 또는 묵인한 것이고, 몰랐다면 속았다는 것을 자인한 셈”이라고 밝혔다.
이 전 총괄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캠페인 세부 내용에 대해 전달받은 바 없다는 하이브 측의 입장에 대해서도 “하이브는 공식 입장문에서 ‘방시혁 의장이 캠페인에 깊은 공감을 표하며 함께하고 싶다는 뜻을 전했다’고 밝혔으며 ‘메타버스 구현, 멀티레이블 체제 확립, 지구 살리기를 위한 비전 캠페인과 같은 방향성에 전적으로 공감했다’고 말했는데 납득하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하이브는 재반박문을 내며 “CTP와 직접 계약이 아니라면 당사가 인지하기 어려운 것은 당연하다”며 “그렇지만 계약에 따라 직접 계약이 아니더라도 이 전 총괄은 수익을 받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SM의 문제 제기는 의미가 없고 이 계약을 승인한 경영진이 충분한 조치를 취해왔기를 바란다”며 “현 경영진이 책임을 져야 할 내용은 없는지 검토하기를 요청드린다”고 전했다. 양사 경영진 간의 신경전과 감정싸움이 날로 격해지고 있는 것이다.
이날 밤 이성수 SM엔터 대표는 2차 성명을 발표했다. 이 대표는 하이브의 기습 지분매수와 지배구조를 지적하며 “적대적 M&A의 전형적 형태”라고 말했다. 또 “SM을 지우고 하이브의 자회사로 만들겠다는 의도로만 느껴진다”며 “인수 시도를 사력을 다해 막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이 프로듀서에게 “이제 그만하고 저와 함께 용서를 구하자”며 “저는 3월 주총을 마지막으로 대표 및 등기이사직에서 사임하고 본업인 음악파트로 돌아가 백의종군하겠다”고 전했다.
다음 주에도 양측의 공방과 주장은 이어진다. 통상 3월 말께 전년도 4분기 실적 발표를 해왔던 SM엔터는 이를 한 달이나 앞당겨 20일 콘퍼런스 콜을 연다. 이날 SM 3.0의 구체적 계획과 경영진의 향후 대응 방안이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날은 하이브가 이 전 총괄이 SM엔터 측에 주주제안을 하며 수용 여부를 회신해달라고 한 날이기도 하다.
바로 이어 하이브도 21일 4분기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다. 이날 하이브 측이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 또 SM엔터 공개 매수 자금 여력에 대한 설명이 있을 것인지 주목된다. 22일은 이 전 총괄이 SM엔터를 상대로 신청한 신주 및 전환사채 가처분 소송의 심문 기일이다. 가처분 결과는 카카오(035720)의 신주 납입 대금일인 3월 6일 전에 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외에도 이 대표의 추가 폭로가 또 나올 공산이 크다.
한편 SM엔터 임직원의 절반 수준인 유닛장 이하 평직원 208명으로 구성된 ‘SM 평직원 협의체’가 현 경영진을 지지하는 성명문을 발표했다. 협의체는 “이 전 총괄이 자신의 불법·탈세 행위가 드러날 위기에 놓이자 도망쳤다”며 “하이브의 불법·편법에 이용 당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 “SM의 문화는 하이브의 자본에 종속될 수 없음을 선언하고 공동대표의 반성과 SM 3.0 계획에 대해 지지를 보낸다”고 발표했다. 협의체는 “협의체 수준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불법 관련 심각한 제보 내용도 다수 접수됐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