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의료 현장에서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하고 관련 산업을 집중 육성한다는 청사진을 발표했다. 의료 데이터, 정보통신기술(ICT)을 도입해 맞춤화된 의료·건강·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인공지능(AI) 기술을 바탕으로 중증 장애인과 의료 취약 계층에 대한 지원도 강화할 방침이다. 국민 100만 명이 참여하는 데이터로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해 연구자에게 개방하고 의료 혁신을 선도한다는 구상도 마련했다.
보건복지부는 28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한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에서 이 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보건의료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료·건강·돌봄 서비스를 혁신해나갈 방침이다. 먼저 의료기관에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는 ‘데이터중심병원’을 늘릴 예정이다. 2020년부터 40개 의료기관이 참여하고 있는 7개의 컨소시엄을 데이터 규모와 연구 역량 등을 고려해 확대·운영할 계획이다.
사망 원인 1위인 암 질환에 대한 연구 역량도 강화한다. 정부는 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의료데이터중심병원이 중심이 돼 암 질환의 임상·검진·사망 정보를 연계·결합하는 ‘K-CURE’ 플랫폼을 올 하반기 도입한다. 의료 데이터는 연구 등을 위해 개방·활용될 예정이다.
정부는 또 공공기관이 보유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연계·결합해 연구자 등에 제공하는 플랫폼을 활성화할 방침이다. 현재 4개인 연계 기관을 올해 9개까지 확대하고 데이터 제공을 위한 심의 기간을 15개월에서 10개월로 단축하기로 했다.
의료 데이터는 돌봄 서비스와도 연계된다. 정부는 지역사회 △장기요양기관 △보건소 △정신건강센터 등 돌봄 제공자와 의료 데이터를 공유하고 개인 중심의 맞춤형 보건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읍면동 등 찾아가는 보건복지팀을 꾸려 복지 서비스와 연계하고 건강 관련 안내 및 교육도 실시한다.
중증 장애인과 의료 취약 계층을 위한 AI도 활용한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욕창 예방 로봇, 배설 보조 로봇, 식사 보조 로봇뿐 아니라 돌봄 로봇을 추가 개발해 삶의 질 향상과 관련 산업을 적극 육성하겠다는 취지다. 또한 의료 분과에 140억 원을 추가 투입해 AI 바우처를 제공한다. 의료기관 등 AI 의료 솔루션을 의료 취약 지역에 확대 추진해 지역 간 의료 불균형을 해소하겠다는 구상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