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수보험료 6조 원으로 성장한 어린이보험 시장을 둘러싼 보험사들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가입 연령을 30세까지 확대해 사회초년생을 적극 유치한 데 이어 최근에는 35세까지 확대한 곳이 등장하며 부모와 자녀가 함께 가입하는 사실상 가족보험으로 변신을 꾀하고 있다.
6일 보험 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현대해상·KB손보·DB손보·메리츠화재 등 5개 손보사들의 지난해 어린이보험 원수보험료는 5조 8256억 원으로 2018년(3조 5534억 원) 대비 63.9% 성장했다. 5대 손보사 외 손보사들과 생명보험사들이 판매하는 어린이보험까지 합치면 시장 규모는 6조 원을 훌쩍 넘길 것으로 보인다.
매출을 의미하는 원수보험료 기준 실손보험 시장이 10조 원, 자동차보험이 20조 원으로 알려진 만큼 어린이보험이 6조 원 시장이 됐다는 것은 규모가 그만큼 확대됐다는 의미다. 다만 어린이보험 신계약 건수는 꾸준히 늘어나다가 지난해 114만 7390건으로 2021년 121만 155건 대비 다소 줄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가입자가 많이 늘어났고 출산율이 낮아진 영향 등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어린이보험은 어린 자녀들의 질병·상해 등 의료비와 일상생활 중에 일어날 수 있는 각종 배상 책임을 아우르는 상품이다. 암·뇌혈관질환·심혈관질환을 비롯해 성인용 보험에 들어 있는 대다수 보장을 최장 100세까지 받을 수 있다. 보험사들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2018년 무렵부터 가입 연령이 30세까지 확대돼 ‘어른이(어른+어린이)보험’으로 불려왔다. 일부 담보에 대해서는 성인보험 대비 손해율이 낮아 상대적으로 보험료가 낮다는 장점이 있어 사회초년생들에게 ‘가성비 상품’으로 꼽힌다.
현대해상이 어린이보험의 전통 강자로 꼽히는 가운데 KB손보도 이 시장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KB손보는 지난해 2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인 오은영 박사와 ‘금쪽같은 자녀보험’을 출시했으며 최근에는 가입 연령 등을 확대한 개정 상품 ‘KB금쪽같은 자녀보험 플러스(Plus)’를 선보였다. 이 상품은 기존 태아부터 30세까지였던 가입 연령을 최대 35세까지 확대해 부모와 자녀가 함께 가입이 가능하도록 했다. KB손보 관계자는 “지난해 12월 ‘금쪽같은 자녀보험’ 신규 판매 건수는 전년 대비 약 80% 성장했으며 올해 1·2월 판매도 지난해보다 많이 늘었다”고 밝혔다. 보험 업계에서는 다른 보험사들의 어린이보험 가입 연령도 35세로 확대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보험사들이 어린이보험에 관심이 높은 것은 어린 잠재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가족 전체를 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녀를 위해 어린이보험에 가입해주는 만큼 중도 해지가 적고 유지 기간도 길어 보험사 입장에서는 효자 상품이다. 올해부터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이 도입된 점도 보험사들이 보장성 보험인 어린이보험에 집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IFRS-17은 부채가 시가로 평가돼 저축성 보험보다는 보장성 보험을 판매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보장성 상품의 신계약 비중이 높은 보험사는 지표상 나타나는 수익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어린이보험 가입 연령 확대에 대한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31~35세 가입자 리스크가 어린이 가입자에 전가되는 등 기존 상품의 특장점이 사라질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보험 업계 관계자는 “어린이와 30대 이상의 청년층을 한 집단으로 묶은 상품을 진정한 어린이보험 상품이라 하기 어렵다”며 “연령별 맞춤과 타기팅이라는 상품 고유의 특성이 사라지게 되고 어린이보험에서만 제공했던 혜택들이 성인들의 유입으로 향후 축소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