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금융회사별로 마련된 비상자금조달계획 점검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이 원장은 13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업권별 감독부서와 뉴욕사무소 합동으로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회의에서는 미국 SVB 사태가 국내 금융회사에 미칠 영향 등을 점검했다.
이 원장은 이번 사태가 SVB의 특수한 영업구조가 최근 금융긴축 과정과 맞물려 발생했지만 미국 정부 및 감독당국이 SVB의 모든 예금자를 보호하기로 한 만큼 시스템적 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유사한 영업구조를 갖는 미국 내 금융회사 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만큼 당분간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금감원은 국내 은행 및 비은행 금융회사의 자산부채 구조가 SVB와 다를 뿐만 아니라, 양호한 자본비율 및 유동성비율 등을 고려하면 국내 금융회사는 일시적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상당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공채 보유 비중이 높은 일부 금융회사의 경우에도 보유 만기가 길지 않고 최근 금리상승기에 투자된 비중이 높아 금리상승이 채권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이미 반영돼 있어 추가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이 원장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및 대출 연체율 등 자산건전성과 자본적정성을 점검하고, 위기 국면에도 문제가 없는 수준의 유동성과 손실 흡수능력을 갖춰 나가도록 미국 등 현지 감독당국과의 소통, 협력 채널을 최대한 가동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내 가상자산 또는 핀테크 업계 등이 이번 사태로 인해 자금공급이 위축되지 않도록 규제개선 필요사항을 적극 발굴·추진해 나가고 업권과 지속적인 소통을 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