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로비의 그림] 빛 머금은 구슬·자연 닮은 초록색 벽돌…치유의 공간을 만나다

■리더스피부과 청담명품거리점

佛 오토니엘 작품 '매달린 연인'

건강한 피부빛 같은 분홍 구슬

방문객들에 행복감·설렘 안겨

印풍습 영감 '프레셔스 스톤월'

넘치는 생명력·삶의 희망 표현

예술작품 통한 긍정의 힘 선사

리더스피부과 청담명품거리점에서는 프랑스 현대미술가 장미셸 오토니엘의 ‘장밋빛 운모와 크리스탈의 매달린 연인(Amant Suspendu Rose Mica et Cristal)’을 만날 수 있다.




빛은 모든 것의 시작이다. 빛이 있기에 볼 수 있다. 빛은 존재를 드러내고 서로를 비춘다. 천장에서부터 드리운 영롱한 빛 덩어리가 눈앞에까지 와 닿았다. 은은한 로즈핑크의 큼지막한 유리구슬이 하나, 둘, 셋, 넷…. 반짝이는 구슬 표면에 감상자의 얼굴이 투명하게 맺힌다. 건강한 피부빛을 닮은 분홍 구슬이 신비롭다. 유리 자체를 물들인 게 아니라 ‘로즈 미카’라고 불리는 연분홍색 운모 조각들이 투명한 구슬 안을 가득 채워 빛깔을 만들었다. 맨 아래 투명한 구슬은 안쪽으로 분홍 덩어리 하나를 폭 끌어안고 있다. 프랑스 작가 장미셸 오토니엘의 2021년 작 ‘장밋빛 운모와 크리스탈의 매달린 연인(Amant Suspendu Rose Mica et Cristal)’이다. 서정적이고 문학적인 제목을 듣고 나면 한껏 설레게 한 분홍빛 마음이 마침내 연인의 사랑으로 결실을 본 것 같아 행복한 기분을 느끼게 한다. 여기는 서울 강남구 청담동의 일명 ‘청담명품거리’로 불리는 곳에 자리 잡은 리더스피부과 청담명품거리점이다. 예술의 힘이, 미술 작품을 방문객과 공유하려는 병원 측의 마음이 만들어낸 ‘미술관 같은 병원’이다.

리더스피부과 청담명품거리점에서는 프랑스 현대미술가 장미셸 오토니엘의 ‘장밋빛 운모와 크리스탈의 매달린 연인(Amant Suspendu Rose Mica et Cristal)’을 만날 수 있다.


프랑스의 국가대표급 현대미술가인 오토니엘은 지난해 서울시립미술관과 덕수궁 연못에서 열린 대규모 개인전으로 더 많은 한국 팬을 확보한 작가다. 프랑스에서도 광물 생산이 활발한 도시 생테티엔에서 자란 오토니엘은 어릴 적 시골 할머니 댁 정원에서 만난 꽃들을 살펴보며 각각의 꽃들이 가진 상징적 의미를 찾아다녔다. 꽃 속에서 신화적 상상력을 키운 그는 꽃말이 갖는 의미를 통해 각 문화권의 독특한 특징도 감지할 수 있게 됐다. 덕수궁에서의 작업을 준비하며 조선 왕실의 상징인 오얏꽃 신작을 만들고 고행과 깨달음을 상징하는 연꽃을 황금빛으로 제작해 연못에 띄운 것도 그런 배경을 갖는다. 단 오토니엘의 꽃은 동글동글한 구슬의 배열로 이뤄진다. 구슬은 유리에서 시작됐다. 그의 유리 작업은 1997년 베니스비엔날레 기간에 페기구겐하임미술관에서 선보인 정원 나무 설치 작업으로 유명해졌다. 오토니엘은 유리 공예로 유명한 베니스의 무라노섬에서 유리구슬들을 제작했다. 반짝이지만 보석은 아니고 나무·돌·청동 같은 전통적 조각 재료도 아닌 유리는 순수예술의 무대에서는 ‘찬밥’ 취급을 받아왔다. 하지만 오토니엘은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다는 점을 유리의 미덕으로 봤고 무라노의 장인들과 공동 작업을 시작했다. 예술을 통해 경험하는 경이로움을 ‘마법’이라고 말하는 오토니엘은 “내가 말하는 마법이란 사람들이 작품을 통해 잠시나마 평소와 다른 세계를 경험하는 것”이라며 “예술은 현실을 다른 시각으로 보게 하고 더 긍정적으로 살아갈 힘을 준다. 사람들이 자유롭게 감정을 풀어놓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 또한 예술가의 역할이며 그 마법을 선물하고 싶었다”고 방한 인터뷰 때 이야기했다. 병원 대기실에서 만나는 오토니엘의 ‘매달린 연인’은 곧 마주할 핑크빛 미래를 기대하고 상상하게 한다.

리더스피부과 청담명품거리점 로비에서는 독일의 사진 거장 칸디다 회퍼의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에르미타주 박물관(가운데부터 왼쪽으로)’과 ‘카텔라니 앤 스미스’ 조명, 우고 론디노네의 ‘두 개의 돌 검정 초록’, 장미셸 오토니엘의 ‘프레셔스 스톤월(Precious Stonewall·오른쪽)’을 만날 수 있다. 병원이라기보다는 미술관처럼 느껴지는 공간이다.


이 병원은 처음부터 미술을 통한 치유와 휴식을 염두에 두고 공간 구성을 시작했다고 한다. 정성태 원장이 수집한 미술품들을 기반으로 컨설팅 회사 아공(AGONG)이 아트 프로젝트를 맡았다. 융합 미술 치료 전공자인 강수연 아공 대표가 진두지휘하고 SL디자인이 설계 시공을 맡아 지난해 8월부터 준비해 3월 6일 정식 오픈했다.

2층에 위치한 병원을 향해 계단을 한 칸 한 칸 올라가면서 은은한 빛이 점점 가까워짐이 느껴진다. 도착한 로비는 도심 한복판 병원의 오밀조밀한 대기 공간에 대한 편견을 싹 날려버린다. 정면에 걸린 사진 작품은 독일의 사진 거장 칸디다 회퍼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에르미타주박물관에서 촬영한 연작 중 하나다. 널찍한 박물관 로비에 놓인 고전 예술품들, 저 멀리 복도 끝까지 확장되는 공간감이 몸은 서울에 있지만 잠시나마 러시아의 화려한 미술관에 머무는 듯한 착각을 느끼게 한다. 소파 옆 작은 테이블 위에 놓인 ‘카텔라니 앤 스미스’ 조명은 작은 불빛 두 개가 겹쳐 생겨난 빛 그림자로 명상적인 분위기를 만든다.

칸디다 회퍼의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에르미타주박물관’과 ‘카텔라니 앤 스미스 조명’.




우고 론디노네 ‘두 개의 돌 감정 초록’.


은은한 유백색의 공간 속에서 자연을 닮은 초록색이 눈길을 끈다. 하나는 스위스 태생으로 미국에서 활동하는 미술가 우고 론디노네의 돌 작품이다. 검은색 돌 위에 좀 더 큰 녹색 돌을 얹은 설치 작업이다. 위태롭지만 극복하고 견뎌내기에 희망을 꿈꿀 수 있는 인생의 섭리가 그 안에 담겼다. 계단 쪽 벽에 걸린 또 다른 초록색 작품은 오토니엘의 ‘프레셔스 스톤월’이다. 인도를 여행 중이던 작가는 언젠가 자기 집을 짓겠다는 희망으로 벽돌을 쌓아두는 현지인들의 풍습을 보고 영감을 얻었고 2009년부터 유리벽돌 작업을 시작했다. 인도 유리 산업의 중심지로 유명한 피로자바드의 유리공예가들과 협업했다. 이 또한 빛이 그려내는 희망과 꿈이다.

장미셸 오토니엘 ‘프레셔스 스톤월’.


개별 치료실로 이어지는 복도에서는 영국의 인기 작가 줄리언 오피의 ‘걸어다니는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일반적인 오피의 회화들과 달리 유럽의 수백 년 된 타일 바닥 같은 배경을 갖는 게 특징이다. 작품 제목은 ‘8월 2일의 오래된 거리’. 맞은편 벽의 작품은 한국의 중견 작가 홍승혜의 대표작인 ‘유기적 기하학’ 연작이다. 선과 면으로만 이뤄지는 ‘기하학적 추상’은 감성적이기 어려운데 홍 작가의 기하학은 서정성을 갖는다. 작가는 “기하학이 공존을 모색하다 보니 유기적으로 변화하더라”고 말하는데, 각각의 형태들이 옆에 있는 존재 혹은 그 너머에 있는 존재와 관계성을 이룬다.

줄리언 오피 ‘8월2일의 오래된 거리’.


홍승혜의 ‘유기적 기하학’.


김재 ‘통로-리더스 더마톨로지’가 전시된 산소치료실.


이 병원의 특별한 공간은 산소치료실이다. 침상과 치료기를 짙푸른 아쿠아마린 블루가 감싼다. 탱탱하고 맑은 물방울이 이리저리 일렁이며 돌아다닌다. 엄밀히 말하자면 깊은 바닷속을 떠다니는 것은 물방울이 아니라 ‘공기 방울’이다. 공기 방울은 이지러지며 움직인다. 유연함과 부드러움은 강인함과 단단함보다도 더 오래 살아남는 힘이 되고는 한다. 마침내 눈부시게 반짝이는 수면 위에 도달해 궁극의 아름다움을 만난다. 신진 미디어 아티스트 김재 작가가 강 대표의 의뢰로 특별히 만든 ‘통로-리더스 더마톨로지’가 한쪽 벽 전체를 차지하고 있다. 물의 이미지, 산소의 힘, 선과 결, 푸르고 맑음에 대한 여러 이야기들이 피부과의 역할을 은유적으로 보여주지만 다른 곳에서 독립적으로 선보이더라도 손색없을 작품이다. 강 대표는 “심리지리학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이 살아가는 공간과 상호작용을 하며 의도적으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아도 그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면서 “병원이라는 기능적 공간이지만 처음부터 예술 작품이 만드는 ‘환대’를 의도하고 기획함으로써 방문객들에게 감정의 환기, 예술의 힘을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 만들 수 있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