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인터넷전문은행의 대손 비용이 가파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저신용자 대출이 급격하게 늘어난 가운데 금리 상승으로 부실채권 발생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22일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받은 인터넷은행 대손 비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인터넷은행 3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의 대손 비용은 총 4952억 원으로 전년(1000억 원)의 약 5배에 달했다. 국내 전체 은행의 대손 비용이 같은 기간 4조 1000억 원에서 6조 3000억 원으로 늘어난 것과 비교할 때 증가율이 훨씬 높다. 특히 지난해 4분기 들어 인터넷은행들의 대손 비용이 급증했다. 지난해 4분기 이들 3개 은행의 대손 비용은 1641억 원으로 전 분기(1350억 원)보다 291억 원(21.6%) 급증했다.
인터넷은행의 대손 비용이 늘어난 것은 대출을 받는 고객들이 중·저신용자 중심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신용대출 신규 취급액 가운데 중·저신용자 비중은 카카오뱅크가 61.4%, 케이뱅크가 41.8%, 토스뱅크가 50.1% 수준이다.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자 고신용자보다 대출 원리금 상환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중·저신용자들이 상환에 어려움을 겪게 됐고 인터넷은행들은 부실채권 발생에 대비해 충당금을 급하게 쌓아 올린 것이다. 한 인터넷은행 관계자는 “중·저신용자 대상의 신용대출을 하고 있어 금리가 높아지면 은행이 준비해야 할 부분도 있기 때문에 대손 비용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인터넷은행의 특성상 중·저신용자 대출을 줄이기도 어렵다. 2021년 금융위원회는 신용 평점 하위 50%인 차주에 대한 중금리 대출 확대를 목표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확대 촉진 방안을 발표했다. 당시 인터넷은행 3곳의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확대 계획을 제출받고 목표치를 정했는데 지난해 기준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25%, 토스뱅크는 42%였다. 지난해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중·저신용자의 잠재 부실 가능성이 높아지자 일각에서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규제를 완화할 필요성을 제기했으나 당국은 “인터넷은행의 설립 취지에 맞지 않는다”며 일축했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대손 비용이 급증한 것은 맞지만 인터넷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 정도가 여전히 적다고 지적하고 있다. 인터넷은행 3사의 지난해 말 기준 총여신 대비 대손 비용 비중은 평균 0.35% 정도다. 5대 시중은행의 총여신 대비 충당금 적립률이 0.51%(2022년 9월 말 기준)인 것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으며 1.6~1.7% 정도인 선진국 은행들과 비교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