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中, 韓무역 최대 흑자국서 최대 적자국으로

반도체 등 對中수출 크게 줄어

1·2월 누적 적자만 벌써 6.5조

31년 만에 첫 연간적자 우려도


중국이 우리의 무역수지 최대 흑자국에서 올해 최대 적자국으로 바뀌었다. 올 2월 누적 기준이라 아직 예단하기는 이르지만 반도체를 비롯한 대중 수출이 크게 빠지는 추세여서 이대로면 중국과의 수교 원년인 1992년 이후 31년 만에 연간 기준 무역적자를 낼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8일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 들어 한국의 대중 무역수지는 50억 7400만 달러(약 6조 5809억 원, 2월 누적 기준)로 집계됐다. 대중 적자는 최대 천연가스 수입국인 호주(-48억 1500만 달러·2위)와 최대 원유 수입국인 사우디아라비아(-46억 6900만 달러·3위)를 넘어섰다. 월간 기준 대중 무역적자는 지난해 10월 이후 5개월째다.

3월 전망도 어둡다. 이달 1~20일 기준 지난해 동기 대비 대중 수출은 36.2% 줄고 수입은 9.1% 늘어난 상태다.

이미 시장에서는 올해 연간 기준으로 대중 무역적자를 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 경우 1992년(-10억 7100만 달러) 이후 처음이다.



연간 기준 대중 무역흑자는 미중 무역 분쟁이 발발했던 2018년 정점을 찍은 후 내리막이 완연하다. 중국은 2018년까지만 해도 한국의 무역흑자국 1위(556억 3600만 달러)였다. 이후 2019년 2위(289억 7400만달러)로 한 계단 내려왔고 2020년(236억 8000만 달러)과 2021년(242억 8500만 달러) 3위로 밀렸다. 지난해(12억 1300만 달러)는 급기야 22위까지 추락하더니 올해는 아예 무역적자 1위가 됐다. 김태황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대중 무역적자가 고착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이를 뉴노멀로 받아들이되 상품·서비스 차별화를 통한 수지 개선에 나서야 할 때”라고 조언했다.

대중 무역수지가 흑자에서 적자로 뒤집힌 배경으로는 중국산 리튬 등의 가격 급등, 중국의 산업 고도화 등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실제 무역적자를 품목별로 뜯어보면 정밀화학원료(-18억 4900만 달러)가 전체의 36.44%를 차지했고 △건전지·축전지(-13억 7800만 달러·27.16%) △컴퓨터(-11억 2400만 달러·22.15%) 등의 순이다.

장상식 무역협회 동향분석실장은 “중국의 무역구조가 점차 자립·내수형으로 변모하고 있다”며 “특히 중간재·소비재가 수출 증가를 주도해 중간재 중심인 한국과 수출 구조가 유사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무역협회는 대중 무역적자 고착화 등을 해결하지 못할 경우 전체 무역적자는 최대 410억 달러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