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미시간 주정부가 지난달 28일(현지 시간) 포드와 중국 CATL의 배터리 합작공장 프로젝트 관련 부지 조성에 쓰일 1억 2300만 달러(약 1600억 원) 규모의 보조금 지급을 승인했다. 이번 결정은 미국 전기차 배터리 밸류체인에서 중국을 배제할 목적으로 시행 중인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취지에 배치되는 것으로 향후 주정부 단위에서 유사한 형태의 보조금 승인이 이뤄질 경우 IRA의 우회로가 넓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3일 외신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주정부들이 막대한 인센티브를 보장하며 배터리 공장 유치 경쟁에 열을 올리면서 현지 완성차 업체들이 정치적인 리스크를 무릅쓰고 투자에 나서고 있다. 세계 최대의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의 미국 진출이 결국 성사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미시간 주정부의 이번 보조금 지급은 의회에서 CATL을 견제하는 법안이 추진된 뒤 이뤄진 결정이어서 주목된다. 배터리 업계에서는 중국 배터리의 미국 진출에 따른 논란이 커졌음에도 미시간 주정부가 강행 의지를 드러낸 행보라고 분석했다. 공화당 소속의 마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지난달 9일 중국 기술을 사용해 만들어진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IRA 상의 보조금을 차단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포드로서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IRA 보조금을 받지 못하더라도 주정부의 막대한 인센티브를 챙길 수 있어 CATL과의 합작 투자를 고수하는 게 이득이라고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미 오토모티브뉴스에 따르면 보조금과 세금 감면을 포함해 포드가 미시간 주정부로부터 받는 각종 혜택은 총 17억 달러(약 2조 2400억 원)에 달한다. 포드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장을 짓는 데 투입할 35억 달러의 무려 절반 수준이다.
민주당 소속의 그레천 휘트머 미시간주지사가 바이든 행정부와 배치되는 산업 정책을 펼치는 것은 자국 내에서 배터리 유치 경쟁이 점차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은 LG에너지솔루션 단독 공장과 LG엔솔-제너럴모터스(GM)의 합작 3공장 등을 유치했지만 다른 주에 밀릴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포드는 SK온과의 114억 달러 규모의 배터리 합작공장 부지로 켄터키주와 테네시주를 택하면서 현지에서 받아들이는 충격은 더욱 컸다. 포드는 미시간주에 본사를 두고 있다. 여기에 인디애나·오하이오·애리조나·텍사스는 물론 캐나다까지 배터리 공장 유치에 뛰어들면서 주정부들이 막대한 인센티브를 보장하는 게 불가피해졌다.
송소영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미국 디트로이트무역관은 “20세기만 해도 디트로이트를 중심으로 미시간주가 ‘모터 시티’라는 위상을 갖고 있었다”면서도 “시장에서는 전기차로의 극적인 변화 속에 내연기관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인 미시간주가 전환을 주도할 준비가 돼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CATL의 미국 진출이 결국 성사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 CATL은 포드에 이어 테슬라와도 손잡고 텍사스주에 배터리 공장을 세우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드처럼 테슬라가 공장 지분 100%를 소유하되 CATL은 기술을 제공해 로열티를 받는 형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배터리 업계는 CATL의 진출을 부쩍 경계하고 있다. 중국 전기차 시장을 등에 업고 급성장한 CATL이 유럽에 이어 북미 시장까지 입지를 넓히면 세계 배터리 패권 경쟁에서 중국에 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배터리 업체의 한 관계자는 “지금 당장은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미국에 직접 투자하는 게 불가능할 것”이라면서도 “차후 정권 또는 정책 변화를 고려해 기술 합작을 시작으로 현지 진출의 물꼬를 트려는 생각은 강해 보인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