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로켓) 누리호가 다음 달 24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다. 지난 1, 2차에 이은 이번 3차 시험발사 임무부터는 민간 우주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처음으로 참여해 뉴스페이스(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성장의 발판을 마련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11일 밝혔다. 다음 달 24일 오후 6시 24분을 발사 예정 시각으로 정하되 준비 상황, 기상 조건 등을 고려해 일정을 유동적으로 조정토록 했다. 미뤄질 경우 예비일인 다음 달 25~31일 중에 발사한다. 목표 고도는 550㎞다.
3차 시험발사는 누리호 고도화 사업의 시작이다. 1~2차 시험발사를 통한 발사체 성능 검증에 이어, 정부의 기술을 이전받을 민간 기업(체계종합기업)으로 선정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참여해 누리호의 완성도와 민간의 기술 자립도를 높이는 사업이다.
또 3차 시험발사에서 누리호는 성능검증용 위성이나 더미(가짜) 위성이 아니라 처음으로 실제 임무를 수행할 국산 위성들을 싣는다. 차세대소형위성 2호, 초소형 위성 도요샛 4기, 져스텍, 루미르, 카이로스페이스 등 총 8기다. 이 중 도요샛은 세계 최초로 4기가 편대비행하는 방식을 채택해 태양풍 등 우주날씨를 정밀 관측할 예정으로, 당초 러시아와 발사 계약을 맺었지만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계약이 무산되면서 대신 누리호에 실리게 됐다.
과기정통부는 이달 말 정부, 군, 경, 지방자치단체 등 11개 기관이 참여하는 종합훈련을 거치는 등 발사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했다. 오태석 과기정통부 1차관은 “3차 발사는 실용급 위성을 발사하는 최초의 시도이자 체계종합기업이 처음으로 참여한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며 “성공적인 발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