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삼성전자의 메모리 감산 결종에 대해 “안주하는 신호”라며 이병철 선대 회장의 정신을 되살리라고 경고했다.
이코노미스트지는 13일(현지시간) ‘삼성은 인텔 같은 안주를 경계해야 한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삼성전자가 메모리 감산을 결정하자 경쟁사인 SK하이닉스와 미국 마이크론의 주가도 함께 오른 점이 흥미롭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이코노미스트지는 삼성이 메모리 삼두체제의 정상 자리가 너무 편해 경쟁사들의 점유율을 더 뺏어오려는 욕구가 없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경우 시장이 안정되기 때문이다.
이코노미스트지는 지난해 11월 투자자 설명회에서도 안주하는 분위기를 엿볼 수 있었다고 전했다. 당시 삼성전자는 경쟁사들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려고 하기보다는 전체 D램 시장이 3배로 성장할 것이란 전망에 만족하는 듯했다는 것이다.
이코노미스트지는 다른 분야에서도 안주하는 모습이 보인다며 자문사 뉴스트리트 리서치의 피에르 페라구씨의 말을 인용해 삼성전자가 D램과 낸드 기술에서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에 혁신 우위를 일부 뺏겼다고 지적했다. 그는 “더는 생존을 위해 싸우지 않을 때, 안주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지는 2010년대 후반 미국의 반도체 업체 챔피언인 인텔이 첨단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대만의 TSMC와 삼성전자에 밀리기 시작했을 때 그런 비슷한 정서가 인텔을 추락시켰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지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TSMC와 생산 능력이 동일하고 반도체 설계에선 아마 더 앞서 있는데도 시장점유율이 정체돼있는 상태다.
이코노미스트지는 삼성전자가 TSMC와 경쟁하면서 반도체 생산모델을 더 급진적으로 변화시켜야 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시스템 반도체를 직접 개발하면서 위탁생산도 하는 구조는 이해상충 가능성이 있어서 애플처럼 경쟁사이기도 한 고객들을 겁먹게 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코노미스트지는 삼성전자가 이병철 선대 회장 때의 초심을 되찾는 게 좋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1983년 이 전 회장이 ‘도쿄선언’으로 반도체 사업 진출을 발표할 때 한국에는 원자재는 부족하지만 교육받고 근면한 인력이 있다고 말한 것을 소개했다.
또 삼성전자는 투지 혹은 ‘무술과 같은 스타일’의 업무윤리로 경쟁을 뚫고 행진해 세계 메모리시장에서 난공불락의 지위를 차지했고, 경기하강 때도 늘 최후의 생존자였고 남들이 어려울 때 시장점유율을 장악했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