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찰이 미국 컨설팅 회사 베인앤드컴퍼니의 상하이사무소를 압수 수색하는 일이 발생했다. 중국이 사드 배치에 반발해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을 은밀히 압박했던 것처럼 미국에도 ‘사드식 보복’을 시작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반면 미국은 화웨이·알리바바 클라우드 등 중국 기업을 수출통제 목록에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히는 등 미중 갈등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6일(현지 시간) “중국 경찰이 2주 전 베인앤드컴퍼니의 상하이사무소를 급습해 직원들을 조사하고 컴퓨터와 전화기를 가져갔다”고 보도했다. 현재 방문 목적은 불분명한 상황이다. 베인앤드컴퍼니는 중국에서 2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중국 경제와 관련한 분석을 관영 언론에 제공하는가 하면 고위 관료들과도 가까운 관계를 이어왔다.
최근 들어 중국 당국은 현지에 진출한 미국 및 동맹국 기업에 대한 조사를 빈번하게 벌이고 있다. 중국은 지난달 20일 미국 기업 실사 업체 민츠그룹의 베이징사무소를 급습해 중국 국적 직원 5명을 연행하고 사무소를 폐쇄했다. 이들 직원은 외부와 연락이 차단된 채 베이징 외곽에 구금돼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또 미국 메모리반도체 업체 마이크론에 대한 인터넷 안보 심사에 돌입했고 중국 기업이 미국 방산 업체 록히드마틴·레이시언과 거래하는 것도 금지했다. 영국 컨설팅 회사 딜로이트의 베이징지사에는 2억 1200만 위안(약 409억 원)의 벌금 및 3개월 영업정지 처분을 내렸고 일본 아스텔라스제약의 중국 주재 일본인 임원을 간첩 혐의로 체포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주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최근 미국 기업을 겨냥한 강압적 행동이 늘고 있다”며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 FT는 “미국 기업들이 조 바이든 행정부의 중국 제재 조치에 따른 보복을 우려해왔다"며 “이번 베인앤드컴퍼니에 대한 조사로 걱정은 더 깊어졌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다만 FT는 “중국이 애플처럼 미래 산업의 중심이 되는 일부 미국 기업에는 ‘레드카펫’을 깔아주고 있다”고 짚었다. 리창 총리 등 중국 고위급 인사들도 최근 잇따라 외국인 투자를 환영한다는 입장을 강조해왔다.
미국은 중국 클라우드 업체에 대한 제재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이날 로이터에 따르면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은 상원 세출위원회 청문회에서 화웨이·알리바바 등 중국 클라우드 업체들이 미국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며 이들 업체를 수출통제 목록에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러몬도 장관은 공화당 상원의원 9면이 중국 클라우드 회사의 제재를 촉구한 데 대해 큰 틀에서 동의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러몬도 장관은 “재임 기간 중 200개 이상의 중국 기업을 수출통제 목록에 올렸고 지금도 추가 위협을 조사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필요하다면 행동을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국가안보에 대한) 위협은 실재한다”며 “상무부는 수출통제 문제를 점검하기 위한 추가 자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 요청을 주도한 빌 해거티 의원을 비롯한 공화당 상원의원 9명은 “중국 클라우드 업체들이 제재를 받는 외국 기업 등과 관계를 맺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면서 “이는 미국과 동맹국의 안보와 경제적 안보 이익에 대한 직접적인 도전”이라고 규탄했다. 이에 따라 화웨이 클라우드와 알리바바 클라우드 같은 중국 클라우드 업체들을 수출통제 명단에 포함할 것을 바이든 행정부에 촉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