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이 당분간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금융권 연체율이 상승하겠지만 금융 시스템의 건전성을 위협할 만한 심각한 상황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부동산 시장 침체 장기화로 가계대출 증가 폭도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금융권의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면서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당국이 진화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은 25일 금융업권 관계자들과 가계대출 동향 및 건전성 점검 회의를 열고 최근 금융권의 가계대출 동향과 건전성 현황 등 잠재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고 건전성 관리 방안을 논의했다.
우선 당국은 당분간 가계대출 증가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진단했다. 아직 대출금리가 연 5% 안팎으로 높은 데다 주택 거래가 예년보다 줄고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적용되기 때문에 가계대출 규모가 급증하기는 어렵다는 판단이다. 4월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2000억 원 증가해 2022년 8월 이후 8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이와 관련해 금감원은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모기지 대출이 4조 7000억 원 늘어난 영향”이라고 했다.
아울러 당국은 최근 금융권 연체율 상승과 관련해 당분간 오름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위험한 상황은 아닐 것으로 내다봤다. 올 3월 말 은행의 연체율은 0.33%로 2022년 말보다 0.08%포인트 올랐다. 같은 기간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의 연체율은 각각 5.07%, 2.42%로 3개월 만에 1.66%포인트, 0.90%포인트 뛰었다. 카드사와 캐피털사의 연체율도 각각 0.33%포인트, 0.54%포인트 오른 1.53%, 1.79%다.
금감원은 “현재 은행과 여전사의 연체율 수준은 코로나19 발생 직전과 유사하며 상호금융권과 저축은행은 2014∼2016년과 비슷한 수준”이라면서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나 저축은행 사태 등의 시기에 비해서는 양호하다”고 설명했다. 최근 금융권이 연체채권 매각·상각이나 여신 사후 관리 등을 강화하고 있으며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을 통해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하고 있기 때문에 연체율이 오르더라도 금융 시스템의 안전성을 위협할 정도의 심각한 상황은 아니라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회의에 참석한 민간 전문가는 “올 하반기에는 경기 침체 우려에 따라 가계대출보다는 기업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금감원은 금융업권의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해서 유도하겠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