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은행(WB)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기존 1.7%에서 2.1%로 0.4%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과 미국의 소비 회복세 등이 영향을 미쳤다. 단 세계은행은 인플레이션 압력 등으로 인해 글로벌 성장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진단했다.
세계은행은 6일(현지시간)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2.1%로 제시했다. 지난 1월 제시했던 기존 전망치(1.7%)보다 0.4%포인트 상향된 수치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제시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2.8%)과 비교하면 0.1%포인트 낮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망치(2.6%)와 비교하면 0.1%포인트 높다.
세계은행이 성장률 전망치를 올려 잡은 것은 중국 리오프닝과 미국의 소비 회복세 등을 고려한 결과다. 세계은행이 올해 미국 성장률을 기존 0.5%에서 1.1%로 0.6%포인트 상향 조정한 것도 그래서다. 유로존 성장률도 기존 0.0%에서 0.4%로 상향 조정됐다. 비교적 온화한 날씨와 천연가스 가격 하락 등으로 유로존 경제 활동이 늘어나며 성장세도 확대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신흥·개도국 성장률은 4.0%로 올 1월 전망치(3.4%) 대비 0.6%포인트 올랐다. 중국을 제외한 신흥·개도국 성장률은 기존 전망치(2.7%)보다 0.2%포인트 오른 2.9%로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동아시아·태평양 지역 성장률은 기존 4.3%에서 5.5%로 1.2%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중동·북아프리카 성장률은 2.2%로 기존 전망치(3.5%) 대비 1.3%포인트 하락했다. 유가 하락, 감산 등으로 인해 산유국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둔화된 여파다.
주요국 성장률 전망치가 상향 조정됐지만 글로벌 성장 약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세계은행 진단이다. 인플레이션 압력, 주요국의 긴축적 통화 정책, 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학적 긴장 등 하방 요인이 걸림돌이 될 수 있어서다.
또 세계은행은 미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의 긴축 정책이 장기화하며 신흥·개도국이 전례 없는 수준의 공공·민간 부문 부채 등 금융 취약성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이에 세계은행은 신흥·개도국이 재정 및 금융 정책을 개선해 이같은 취약성을 완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언했다.
저소득국(LIC) 재정건전성이 급격히 악화된 만큼 부채 탕감 등을 위한 국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아제이 방가 WB 총재는 “성장 예측이 숙명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며 “흐름을 바꿀 기회가 있지만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