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300조 원을 투자하는 경기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필요한 공업용수가 하루 65만 톤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주무 부처인 환경부가 “팔당댐 취수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지면서 글로벌 반도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초대형 국책 사업이 또다시 지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산단 조성 이후 필요한 전력량도 하루 최대 7GW(기가와트)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돼 안정적 용수와 전력 공급망 문제를 정부가 선도적으로 해결해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2일 경기도와 반도체 업계 등에 따르면 경기도는 1일 경기도청에서 삼성전자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도 반도체 지원 태스크포스(TF)’ 2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핵심 현안으로 공업용수·전력 확보 문제를 꼽고 해법을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의 하루 필요 공업용수량이 65만 톤에 달할 것으로 분석됐다. 120조 원이 투입돼 SK하이닉스(000660) 등이 입주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하루 소요량 26만 5000톤보다 2.5배가량 더 많은 수준이다. 현실적으로 팔당댐 취수 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것이 반도체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환경부는 팔당댐 취수가 쉽지 않다는 반응이다. 앞서 SK하이닉스가 입주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도 팔당댐을 통한 용수 공급이 어려워지면서 여주보 취수로 계획을 변경했다가 지방자치단체와 갈등이 빚어져 1년 6개월간 사업이 지연된 바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팔당댐 자체에 여유 수량이 많지 않아 용수 공급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하수 재이용, 다른 수원 확보 등 대안을 마련해 공급에 문제가 없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핵심 기반시설의 미비로 자칫 국가 핵심 사업이 표류할 가능성이 있다며 조기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삼성 파운드리가 대만 TSMC와의 경쟁에서 생존하려면 산단의 적기 조성을 통한 생산량 확대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창한 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부회장은 “자칫 지자체 간 갈등으로 국가 차원의 핵심 사업이 지연될 수 있다”며 “문제가 발생할 때 주도적으로 조율할 수 있는 권한을 주무 부처 장관에게 맡겨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제도화해 근본적인 해결의 틀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