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현대차가 무슨 고성능이야?"…의구심 뒤집은 정의선 '10년 뚝심'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 공개

현대차그룹 N 브랜드 개발 의지 결실

2013년 모터스포츠법인 설립

대회서 경험 쌓고 양산차에 적용

전동화 흐름에 친환경 경주차 개발

아이오닉 5 N 앞세워 전기차 리더십 강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 제공=현대차




현대자동차가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을 글로벌 시장에 공개함에 따라 ‘N 브랜드’의 역사가 재조명받고 있다. 고성능 모델을 만들겠다는 목표 하에 정의선 현대차(005380)그룹 회장이 10여 년 전부터 전폭적인 지원을 이어온 점이 아이오닉 5 N의 탄생으로 결실을 맺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대차는 13일(현지 시간) 영국 최대 자동차 축제인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에서 N 브랜드 최초의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을 공개했다. 아이오닉 5 N은 2013년 현대모터스포츠법인 출범 이후 각종 모터스포츠 대회에서 축적한 고성능 기술력과 E-GMP 기반 전용 전기차를 통해 발전시킨 전동화 기술이 더해져 압도적인 주행성능을 갖춘 고성능 전기차로 주목받았다.

정의선(오른쪽 세 번째) 현대차그룹 회장이 13일(현지 시간) 아이오닉 5 N 월드프리미어가 열리는 영국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차


‘고성능 기술’ 강조한 정의선…‘N 브랜드’ 탄생 기여


현대모터스포츠법인이 올해로 출범 10년을 맞은 가운데 현대차가 각종 모터스포츠 대회에서 수상 경력을 세우며 성과를 내는 배경에는 정의선 회장의 주도적인 역할이 핵심 동력으로 작용했다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현대차는 2012년 파리모터쇼에서 세계 최정상급 모터스포츠 대회인 월드랠리챔피언십(WRC) 도전을 공언한 이후 2013년 독일 알체나우에 현대모터스포츠법인을 설립했다. 고성능차 개발을 통해 확보한 기술을 향후 양산차에 접목해 글로벌 시장에서 확고한 기술 리더십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실제 정 회장은 2018년 CES 현장에서 “마차를 끄는 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전쟁에서 싸우거나 잘 달리는 경주마도 필요하다. 고성능차에서 획득한 기술을 일반차에 접목할 때 시너지 효과가 크기 때문에 현대차에 꼭 필요한 영역”이라며 고성능 기술력 개발 의지를 강조했다.

정 회장의 지휘 아래 현대차는 WRC를 비롯해 TCR 월드 투어(WTCR), 뉘르부르크링 24시 내구레이스 등 수많은 모터스포츠 대회에서 차량의 성능을 갈고 닦았다. 2017년 N의 첫 번째 판매용 경주차 i30 N TCR, 2019년 벨로스터 N TCR, 2020년 아반떼 N TCR 등 뛰어난 상품성을 갖춘 서킷 경주차도 선보였다.

2019년에는 WRC 참가 6년 만에 한국팀 사상 최초로 제조사 부문 종합 우승을 차지하며 모터스포츠 무대 정상에 섰다. 이듬해 WRC에서도 다시 한번 제조사 부문 종합 우승을 거머쥐며 고성능 기술력이 세계적인 수준에 올랐음을 입증했다.

정 회장은 ‘자동차를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짜릿한 운전의 재미를 주는 자동차’를 만들고 새롭고 혁신적인 운전 경험을 통해 고객 가치를 실현하겠다는 목표도 현실화했다.

현대차는 2015년 고성능 브랜드 N을 선보이며 모든 고객들이 가슴 뛰는 ‘운전의 재미’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2018년에는 고성능차 사업과 모터스포츠 사업의 시너지를 높여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자 고성능사업부를 신설했으며 고성능차 전문가를 영입해 고성능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양산차의 기술 경쟁력을 끌어올렸다.

이러한 노력의 시간은 현대차가 2017년 N 브랜드의 첫 모델 i30 N을 출시한 이후에도 △2018년 벨로스터 N, i30 패스트백 N △2021년 아반떼 N, 코나 N 등 다양한 N 제품으로 고객에 운전의 즐거움을 선사하는 밑거름이 됐다.

현대차 RN22e(오른쪽)과 N Vision 74. 사진 제공=현대차


모터스포츠도 친환경차로…전기차에 N 정체성 계승


“인류의 평화로운 삶과 건강한 환경을 위해 성능과 가치를 모두 갖춘 전기차로 모두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친환경 이동 수단을 앞장서서 구현하겠다”는 정의선 회장의 강력한 전동화 의지는 현대차가 친환경 모터스포츠 대회에서도 기술력을 단련하는 원동력이 됐다.



특히 전동화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도 운전의 재미와 고성능 감성을 추구하는 고객의 바람은 현대차에 새로운 전환점이 됐다. 현대차는 전기 경주차 벨로스터 N ETCR을 개발해 2021년과 2022년 순수 전기차 기반의 투어링카 레이스 ‘PURE ETCR’에 출전함은 물론 수소연료전지 발전기를 사용해 ETCR 출전 차량에 전기 충전을 제공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모터스포츠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지난해 WRC부터는 내연기관 기반이 아닌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기반의 신규 기술 규정이 적용됨에 따라 i20 N의 1.6ℓ 4기통 엔진에 100kW급 전동모터를 탑재한 i20 N Rally1 하이브리드 경주차로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현대차는 ‘현대 N Day 2022’를 열고 고성능 전동화 비전과 함께 고성능 콘셉트카 2대를 공개하며 글로벌 모터스포츠 팬들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내연기관 차량보다 무거워지고 열 관리가 필수인 전기차의 한계를 극복함과 동시에 전기차의 소프트웨어 측면의 잠재력을 활용해 사운드, 진동 등 감성 영역에서도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전기차 시대에도 N의 정체성을 계승했다.

현대차 아이오닉 5 N이 13일(현지 시간) 영국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에서 트랙을 달리다 드리프트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차


고성능·전동화 다 잡은 ‘아이오닉 5 N’


현대차의 노력은 N 브랜드 최초의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의 탄생으로 구체화됐다. 아이오닉 5 N은 과거 유산 계승을 통해 유연한 전동화를 추진하는 현대차의 핵심 전동화 전략 ‘현대 모터 웨이’의 실행을 알리는 상징적인 모델로 현대차는 아이오닉 5 N을 통해 고성능 전기차 시장에 첫발을 내딛게 됐다.

현대차는 내연기관 N 모델을 통해 고성능 차량용 서스펜션, 브레이킹 시스템 등 여러 하드웨어적 기술 개발을 이뤄왔고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 5 등을 통해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열 관리, 고성능 주행을 위한 소프트웨어 제어 기술 등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기술 역량이 집약된 아이오닉 5 N은 고성능 사륜구동 시스템을 바탕으로 전?후륜 모터 합산 478kW(650마력)의 최고 출력과 770Nm(78.5㎏·m)의 최대 토크를 자랑하며 84.0kWh의 고출력 배터리를 탑재해 압도적인 주행성능을 자랑한다.

회생제동을 활용해 날카로운 코너링에 도움을 주는 ‘N 페달’ 모드, 전?후륜에 최적의 구동력을 배분함으로써 원활한 드리프트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N 드리프트 옵티마이저’ 등 코너링 특화 사양을 비롯해 주행 목적에 따라 배터리 온도를 최적으로 관리해주는 열 관리 시스템 ‘N 배터리 프리컨디셔닝’ 등 다양한 전용 기술도 적용했다.

이외에도 내연기관 모터스포츠 차량에서 영감을 받은 가상 변속 시스템 ‘N e-쉬프트’와 가상 사운드 시스템 ‘N 액티브 사운드 플러스’로 운전의 재미를 높이고 전기차의 고성능 감성을 극대화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에는 과거부터 축적해 온 최고 수준의 기술과 혁신을 위한 도전의 시간이 녹아 있다”며 “전동화 시대에도 고객들에게 변치 않는 운전의 즐거움을 제공하고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리더십을 확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 아이오닉 5 N. 사진 제공=현대차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