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적인 이상 기후로 정보통신기술(ICT) 등을 이용해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는 스마트팜 산업이 매해 규모를 키우며 성장하고 있다. 2026년 글로벌 스마트팜 산업 규모가 44조 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국내 업체들도 주요 국가에 스마트팜 시설 및 솔루션을 수출하는 등 시장 선점을 위해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5일 글로벌 시장 조사 업체 BIS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206억 달러(약 26조 3268억 원)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는 세계 스마트팜 시장 규모가 2026년에는 341억 달러(약 43조 5798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스마트팜 시장 규모는 2020년만 해도 124억 달러 수준이었지만 이후 2021년 146억 달러, 2022년 174억 달러를 기록하는 등 매 해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팜 시장 또한 2018년 4조 7474억 원에서 지난해 5조 9588억 원 규모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스마트팜 산업 내 주요 분야인 인도어팜(실내 농장)은 국내 스마트팜 산업 중 성장세가 가장 가파르다. 첨단 ICT 기술에 강점을 보이고 있는 국내 업체에게 가장 경쟁력 있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인도어팜은 실내 시설을 구축한 뒤 발광다이오드(LED) 반도체를 활용해 식물 광합성을 이끌어내고 온·습도 공조 시설, ICT, 수처리 시설 등 융·복합 기술·시설을 활용해 식물 생장을 이끄는 농업 방식이다.조건을 균일하게 유지하면 365일·24시간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 노지에서 연간 4모작을 할 수 있는 상추를 최대 17모작까지 할 수 있다. 재배 시설을 수직으로 쌓아 올리면 면적당 생산량 극대화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같은 장점에 국내에서는 실내 재배가 까다롭기로 유명한 딸기를 세계에서 최초로 대량 재배에 성공하는 등 관련 기술력이 고도화하고 있다. 인도어팜 업체인 넥스트온은 세계 최대 터널형 인도어팜을 준공해 딸기 대량 재배에 성공한 이후 중동 아랍에미리트연방(UAE)·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쿠웨이트·오만·바레인 등 중동 걸프협력기구(GCC) 6개 국에 4억 달러 규모 인도어팜 플랜트 및 솔루션을 수출하는 성과도 냈다. 이외에도 그린플러스(인도어팜), 플렌티팜(인도어팜), 그린랩스(스파트팜 솔루션) 등의 국내 스마트팜 기업들이 해외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글로벌 이상 기후 현상에 더해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공급망 교란으로 인해 부각된 식량 안보 이슈로 인도어팜 등 스마트팜 솔루션을 수입하는 국가는 앞으로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넥스트온의 경우 중동 6개국 외에도 싱가포르 등 도시 국가를 비롯해 도심 내 작물 재배를 추진하는 미국·캐나다와도 수출 협상을 벌이고 있다. 플렌티팜 또한 2021년 쿠웨이트에 채소 재배용 수직농장을 수출했고 이외에도 남극에 인도어팜 시설을 수출하는 성과를 냈다.
다만 생산 비용이 높다는 점은 인도어팜을 비롯한 스마트팜 업계가 극복해야 할 한계다. 노지(露地)에서 태양광 및 비료·수자원을 이용해 재배하는 일반 농업에 비해 각종 시설을 구축·운영해야 하는 인도어팜은 초기 구축 비용을 비롯해 전기료 등 추가 비용이 꾸준히 발생한다. 최재빈 넥스트온 대표는 올 5월 넥스트온 태백 사업장 준공식에서 “비용을 감안하면 아직까지 인도어팜 등 스마트팜이 보편화되기는 쉽지 않다”며 “비용 문제는 기술 고도화를 통해 극복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