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금융 당국이 배터리 업계에 추가 투자 자금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잠재력이 큰 일본 배터리 업계와도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박태성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이 9일 서울 서초구 협회 회관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강조한 말이다. 1992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일한 박 부회장은 주인도네시아 대사까지 지낸 산업·통상 분야 전문가다. 3월 협회 부회장에 취임해 국내 배터리 및 소재 업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있다.
그는 “K배터리가 국가 핵심 산업으로 자리 잡도록 협회가 중심축 역할을 하자는 목표가 있었다”며 “이름을 전지산업협회에서 배터리산업협회로 바꿨고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 공급망 이슈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해왔다”고 지난 6개월을 회상했다.
박 부회장은 정책금융 당국이 재원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배터리 업계를 추가 지원할 것이라 내다봤다. 배터리 산업은 막대한 초기 투자가 필요한 만큼 최근까지도 일부 기업들은 자금 조달에 애를 먹은 바 있다. 박 부회장은 현시점에서 업계의 애로가 어느 정도 해소됐지만 앞으로 정책금융 당국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행스럽게도 방산 수출을 계기로 수출입은행의 자본금 확충과 관련해 정부 방침에 컨센서스(동의)가 이뤄지고 있다”며 “정책금융 당국이 배터리 분야에 추가로 투자 자금을 지원하는 작업에도 숨통이 트이지 않을까 싶다”고 전망했다.
한일 관계가 해빙 분위기에 접어든 가운데 배터리 분야에서도 양국 간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공급망 분야, 미국과 유럽연합(EU)의 규제에 관해 한일 양국의 입장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는 “협단체 차원에서 일본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협회가 노력할 것”이라며 “전구체나 광물 가공 분야 등 양국이 서로 협력할 부분이 많다”고 설명했다.
박 부회장은 협회가 설립을 추진 중인 배터리아카데미가 업계의 인력난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배터리아카데미는 업계 취업을 희망하는 신규 인력, 타 업종에서 전직을 원하는 인력, 자체 교육 능력이 없는 중소 배터리 업계 인력 등을 배터리 인재로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박 부회장은 “특정 대학과 기업이 협력하는 계약학과와 달리 배터리 업계 전반에 취업 길을 열어준다는 측면에서 인력 미스 매치를 풀어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완성차 업계에서 IRA에 따라 배터리 제조사가 받는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를 공유해달라는 요청에는 “개별 기업 간에 발생한 문제라 협회가 업계의 공동 입장을 가져가는 것은 쉽지 않다”고 말을 아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