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우크라이나 의원단과 만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8일 포스코그룹에 따르면 최 회장은 지난 6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한-우크라이나 의원친선협회 초청으로 방한한 안드리 니콜라엔코 의원 등 우크라이나 의원단과 만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최 회장은 "대한민국 정부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확고한 의지를 갖고 있고, 포스코그룹을 포함한 한국 기업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만큼 양국 연대는 한층 강화될 것"이라며 "종전과 동시에 재건 사업에 착수할 수 있도록 포스코그룹의 모든 역량을 결집해 재건 사업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안드리 니콜라엔코 의원은 “전쟁으로 상처 입은 우크라이나를 재건하고, 더 나아가 새로운 우크라이나를 건설하는 데 있어 포스코그룹이 최적의 파트너라고 생각한다"며 “포스코그룹을 도와 우크라이나 정부의 지원을 이끌어내고 상호 간의 협력이 성과를 맺을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화답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3월 ‘우크라이나 재건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하고 철강, 식량, 이차전지 소재, 에너지, 인프라 등 5개 사업 영역에서 재건 사업 참여를 추진 중이다. 미래 세대 교육 지원을 통한 인도적 차원의 협력도 가속할 방침이다.
철강은 우크라이나 정부의 ‘철강 재건 프로그램’을 통해 철강 생산용 에너지 발전, 친환경 제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식량 사업은 포스코인터내셔널이 2019년부터 우크라이나 미콜라이우주에서 운영 중인 곡물 터미널의 판매량을 지속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또 우크라이나 현지 기업과의 이차전지소재 및 에너지 분야 사업 협력도 검토 중에 있다.
인프라 사업 관련해서는 공사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스틸 모듈러 주택을 재건 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양국 정부와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모듈러는 공정의 70~80%를 공장에서 사전 제작해 공사기간을 최대 60%까지 단축할 수 있고, 재사용 및 재활용도 가능하다.
우크라이나 의원단은 면담 다음 날인 7일 광양을 방문해 모듈러 공법이 적용된 12층 높이의 고층 건물 ‘광양 기가타운(포스코 직원 생활관)’을 직접 둘러보고 모듈러 주택에 관심을 보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