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늘며 저출산 현상으로 인한 노동 공급 감소세를 완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단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와 저출산 현상 사이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만큼 장기적으로는 경제·사회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개발연구원(KDI)가 30일 발표한 ‘KDI 현안 분석 30대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상승의 배경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30~34세인 1988~1992년 출생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75%로 집계됐다. 2017년 기준 30~34세였던 1983~1987년 출생 여성의 당시 경제활동 참가율(66.2%)과 비교하면 8.8%포인트 상승했다. 현재 30대 초반 여성이 30대 후반 여성보다 활발하게 경제 활동을 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같은 현상은 자녀를 갖지 않거나 자녀를 갖는 시기를 미루는 여성이 증가한 데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KDI에 따르면 1988~1992년 출생 여성의 유자녀 비중은 32.3%로 1983~1987년 출생 여성이 30~34세였을 당시의 유자녀 비중(46.7%)보다 14.4%포인트 축소됐다. 자녀가 2명 이상인 여성 비중 역시 1983~1987년생(22.9%)에서 1988~1992년생(13.6%)으로 세대가 넘어가며 대폭 줄었다. 김지연 KDI 연구위원은 “최근 세대에서 경제활동 참여도는 높아진 반면 자녀를 갖지 않거나 자녀를 갖는 시기를 미루는 여성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자녀가 있는 여성의 경제활동 여건도 개선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1988~1992년생 기준 유자녀 여성과 무자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 격차는 28.2%포인트로 1983~1987년생(36.4%포인트)보다 완화됐다. 김 연구위원은 “자녀의 존재는 여전히 30대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을 크게 위축시키는 요인이지만 강도는 과거에 비해 약해졌다”며 “일·가정 양립 정책의 도입, 남성 육아 참여 확대 등으로 워킹맘의 경제활동 여건이 과거보다 개선됐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KDI는 30대 여성이 저출산으로 인한 노동시장 타격을 완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구체적으로 KDI는 내년부터 2028년까지 5년간 3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상승으로 매년 취업자 수가 4만 명씩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같은 기간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로 매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 취업자 수는 3만~4만 명이다. 김 연구위원은 “30대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의 빠른 상승세가 유지되면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취업자 수의 감소를 상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저출산에 기반한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상승은 결국 노동 공급 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김 연구위원은 “30대 여성 경제활동 참여 확대는 저출산 현상의 심화와 함께 진행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생산가능인구와 노동 공급 감소가 보다 심각해질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위원은 “일·가정 양립에 대한 지원을 지속해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출산율이 함께 상승할 수 잇도록 정책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