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 물가’의 고공행진 원인에는 업계에서 원가 상승분이상으로 가격을 높이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국산 쇠고기와 수입 쇠고기의 10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동월 대비 각각 3.1%와 0.1% 떨어졌다. 이에 반해 식당에서 사 먹는 쇠고기 외식 물가는 같은 기간 2.2% 상승했다.
돼지고기 소비자물가도 0.2% 하락했지만 삼겹살 외식(2.8%)과 돼지갈비 외식(4.3%) 물가는 되레 올랐다. 라면 물가 역시 10월에 1.5% 내려갔지만 라면 외식 가격은 6.1%로 큰 오름세를 보였다.
주류 제품에서도 격차가 컸다. 10월 소주(0.4%)와 맥주(1.0%) 물가는 비교적 안정적 흐름을 보였지만, 식당과 주점에서 파는 소주와 맥주 가격은 각각 4.7%, 4.5% 올랐다. 막걸리 물가도 0.4% 오르는 데 그쳤지만, 외식부문 막걸리값은 3.5% 뛰었다.
소주 출고가가 한 자릿수 인상되더라도, 식당의 소주 가격은 병당 4000원~5000원에서 5000원~60000원으로 20%대 오르는 구조 탓이다.
주류업계가 10~11월 잇따라 출고가를 인상한 만큼 외식업계 가격은 한 차례 더 뛰어오를 전망이다.
하이트진로는 오는 9일부터 소주 출고가를 7% 올리고, 맥주 출고가를 평균 6.8% 인상한다. 앞서 오비맥주는 지난달부터 주요 맥주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6.9% 올린 바 있다.
일선 외식업계는 재료비뿐만 아니라 전기·수도·가스 요금, 인건비 상승까지 제반 비용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만큼 단순 비교에 무리가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전반적인 원가 부담을 고려하더라도, 판매가와 외식물가의 격차를 설명하기는 어렵지 않느냐는 게 물가 당국의 시각이다.
외식업 메뉴뿐만 아니라, 일반 음식료품 판매가격도 원재료 인상만으로는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런 구조의 가장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우유가 꼽힌다.
낙농진흥회가 낙농가의 생산비 상승을 반영해 지난달 1일부터 우유에 사용되는 원유 기본가격을 L당 88원(8.8%) 올리자, 10월 우유 물가는 1년 전보다 14.3% 올랐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8월(20.7%) 이후 14년 2개월 만에 최대폭이자 첫 두 자릿수 상승률이다.
분유도 1년 전보다 10.6% 올랐다. 올해 2월(11.6%)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연유·분유 등 가공 유제품에 사용되는 원유 가격도 87원 오른 영향이다. 분윳값 상승률은 지난 2월 이후 한 자릿수를 유지하다가 지난달 다시 10%대로 진입했다.
우유·분윳값 상승은 이를 원재료로 하는 빵·과자류 물가까지 연쇄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실제로 아이스크림값은 지난달 15.2% 오르면서 전달(14.0%)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2009년 4월(26.3%) 이후 14년 6개월 만에 최대 폭이다. 올해 들어 계속된 10% 이상 높은 상승세에 더해 우윳값 인상 효과가 더해진 결과로 풀이된다.
소비자단체 관계자는 “고추장, 된장, 쌈장류는 여러 외식 품목의 원가에 부담을 줄 수밖에 없다”면서 “원재룟값 인상보다 출고가를 더 많이 올리지 않는지, 외식업체는 이유 없이 비싸게 팔지 않는지 정부는 관리·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