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뒷북경제]뚜렷해진 소득 양극화 …'계층이동 사다리' 격차는 더 커졌다

■ 통계청 '3분기 가계동향 조사'…월평균 소득 503만원 3.4%↑

실질소득 늘었지만…고물가·집중호우에 저소득층만 뒷걸음질

물가오르자 연금도 연동해 오르며 소득증가…1분위는 혜택無





가계의 실질소득이 2022년 2분기 이후 5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지만 고물가와 집중호우 영향으로 소득 하위 가구는 소득과 지출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물가가 올라 국민연금·기초연금 등 각종 연금도 연동해 실질소득이 증가한 것인데 저소득층은 이마저도 혜택을 보지 못한 겁니다.

즉 소득 하위20%가구는 소득 증가율이 물가 인상분을 따라가지 못하면서 실질소득이 줄었고, 반면 상위 소득자는 임금상승과 공적연금 수급액 인상 등에 따라 실질소득이 늘었습니다. 이상기후로 지난여름 쏟아진 집중호우도 저소득층이 가장 큰 피해를 입어 양극화는 더욱 뚜렷해졌습니다.

소득 늘었다지만 저소득층만 뒷걸음질…더 벌어진 양극화


23일 통계청의 ‘2023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득 1~3분위의 3분기 월평균 소득 증가율이 이 기간 물가상승률(3.1%)보다 낮았습니다. 분위별로 보면 2분위(272만 7000원)는 0.3%, 3분위(422만 원)는 2.3%증가에 그쳤고,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은 4분위(624만 7000원), 5분위(1084만 3000원)는 각각 5.0%, 4.1%증가했습니다. 전반적인 분위별 소득상승으로 3분기 가계소득은 전년동분기 대비 3.4%, 실질소득으로도 0.2%증가해 소폭이나마 실질소득이 상승전환됐습니다. 다만 이런 상황에서도 1분위는 월평균 소득이 112만 2000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0.7%줄었습니다.

정부는 취업자 수 증가 및 임금 상승, 공적연금 수급액 인상 등에 따라 근로소득(3.5%)과 이전소득(11.7%)이 증가해 전체 소득을 견인했다고 평가했지만 고물가로 인한 양극화가 심화된 것입니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지난해 물가가 올라 올해 1월부터 연금에 반영된 것"이라며 “지난해에 비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연금에서 적용이 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과장은 “올해는 작년까지 0세부터 1세에게 주는 영아수당이 부모급여로 명칭이 바뀌고 금액 자체도 35만 원에서 70만 원까지 지급됐다”고 덧붙였습니다.

다시 말해 공적 이전소득이 50만 원으로 16.0%나 늘어 전체 소득을 견인한 겁니다. 각종 연금은 소비자물가지수에 연동해 지급되는데, 지난해 하반기 물가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올해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수급액이 각각 1년 전보다 5.1%올랐습니다.

연금 수혜를 받는 고소득층은 물가 혜택을 받은 반면 저소득층은 기후 직격탄도 고스란히 받았습니다. 통계청은 1분위의 소득 감소에 대해 날씨영향을 대표적으로 꼽았습니다. 즉 7·8·9월 집중호우에 따라 임시일용직이 많은 저소득층의 근로소득이 감소했고, 농가비중이 높다보니 사업소득도 감소했다고 분석했습니다.



7·8·9월 집중호우 저소득층 타격
농가 비중 높아 사업소득도 감소


이 같은 양극화는 실질소득 대신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해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처분가능소득은 명목소득에서 각종 세금, 보험료, 이자비용 등 비소비지출을 빼 도출됩니다. 분위별로 1분위의 처분가능소득은 90만 7000원으로 0.6%증가에 그친 반면 5분위 가구는 831만 9000원으로 3.1%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분배지표는 2분기보다 악화됐습니다. 소득 1분위와 5분위의 소득(균등화처분가능 소득 기준)을 비교한 5분위 배율은 5.55배로 1분기 6.45배보다는 축소됐지만 직전분기 5.34배에 비해서는 증가했습니다. 5분위 배율은 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숫자가 클수록 분배 상황이 나빠졌다는 걸 의미합니다.

가장 소득이 낮은 소득 1분위는 전체 분위에서 유일하게 지출까지 줄였지만 10가구 중 6가구 가깝게 적자살림을 꾸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적자가구는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큰 가구를 의미합니다. 1분위의 경우 적자가구 비율이 56.0%를 기록했습니다. 역시 1분기(62.3%)보다는 줄었지만 2분기(52.7%)보다는 높은 수준입니다. 다른 분위의 경우 2분위는 적자가구 비율이 23.6%, 3분위는 20.3%, 4분위는 13.2%를 기록했고, 가장 소득이 높은 5분위는 9.8%에 머물렀습니다. 저소득층에서 적자가구 비율이 증가한 건 지출을 줄였음에도 고물가 속에 꼭 써야 하는 항목의 가격 상승률이 높았던 까닭으로 해석됐습니다.

1분위 교육 지출 10%이상 줄일때…5분위는 20%가량 늘렸다


특히 ‘계층 이동의 사다리’로 불리는 교육 지출 격차도 벌어졌습니다. 1분위가 교육에 대한 지출을 13.9%줄일때 5분위는 19.4%늘렸습니다. 3분기 실질적 교육 지출 증감량 격차가 30%이상 벌어진 겁니다. 기재부는 “소득, 분배가 지속 개편될 수 있도록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 사회안전망 확충 노력을 강화하는 한편, 범부처 특별물가안정체계 운영, 겨울철 취약계층 난방비 지원 확대 등 민생 안정에도 총력 대응해 나가겠다”고 대안 제시를 했습니다. 실질소득 0.2%증가보다 집중해야할 곳은 따로 있다는 예기입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