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생산 기술 고도화 등을 통해 김 수출액을 10억 달러까지 끌어올린다. 서구권 선호도가 높은 굴의 경우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목표로 양식 비중을 높이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25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양식수산물 핵심 품목 전주기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김, 굴, 전복, 넙치 등 4개 품목을 4대 핵심 양식수물로 선정해 집중 육성하는 것이 골자다.
우선 글로벌 점유율 1위인 김 생산 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한다. 김 수출액을 지난해 7억 9000만 달러에서 2030년 10억 달러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해수부는 김 생산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김 육상 생산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할 방침이다. 김 성장 촉진, 병해 방제 등을 위해 사용하는 무기산을 대체하기 위해 고성능 처리제도 개발·보급하기로 했다. 무기산에 염산이 들어가 독성이 강하고 해수에 녹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김 제품 규격안은 국제 표준으로 만들기로 했다. 국제식품규격위원회는 한국 김 규격안을 아시아 지역 규격으로만 지정했다. 아시아 외 지역에 김을 수출하려면 개별국의 위생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는 의미다. 해수부 관계자는 "(한국 김 규격이) 국제 표준이 되면 비관세장벽을 완화하고 시장지배력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굴 산업 육성 방안도 담겼다. 구체적으로 현재 1% 수준인 개체굴 양식 비중을 2030년까지 30%로 끌어올린다. 굴 크기, 색, 신선도 등을 평가하는 등급제를 도입해 개체굴의 부가가치도 높이기로 했다. 이 밖에도 가격 경쟁력이 높은 국산 알굴은 가공 후 수출하고 서구권 선호도가 높은 개체굴은 원물로 수출해 수출 규모를 확대한다. 이런 전략을 통해 굴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기존 3위에서 1위로 높이는 것이 해수부 목표다.
전복은 수출국 다변화를 추진한다. 일본에 편중된 수출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해수부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복 수출 물량(2850톤)의 78%는 일본에 수출됐다. 이에 해수부는 중국, 베트남 등은 프리미엄 전복으로, 서구권은 전복 가공품을 중심으로 공략하기로 했다.
넙치는 유통 구조를 손 보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마리'나 'kg' 단위의 넙치 유통 구조를 1인용으로 개편한다. 스테이크, 샐러드 등 넙치 가공 방식을 늘려 현재 300억 원 규모인 넙치 가공 시장을 2030년까지 1000억 원 규모로 확대하겠다는 방안도 담겼다. 해수부 측은 "넙치 생산 효율화를 위해 우수 종자, 고효율 장비 신속 보급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이번 육성 방안을 통해 '더 많이, 저 자주 먹는 양식수산물, 더 높이 뛰는 양식산업'을 실현하겠다"며 "핵심 품목의 성과가 양식산업 혁신과 국내 수산물 수출 확대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