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올트먼은 '1경 원'으로 뭘 하려는 걸까? [윤민혁의 실리콘밸리View]

7조 달러 필요하다는 올트먼

AI칩 자체 설계는 한계 분명

거액 파운드리 투자 가능성


최근 인공지능(AI) 반도체 공급망 재편을 위해 뛰고 있는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최대 7조 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구한다고 합니다. 7조 달러. 1경 원에 달하는 금액입니다. 천문학적이라는 수사도 우스워 지는 액수죠. 올트먼은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는 걸까요.

샘 올트먼 오픈AI CEO. 서울경제DB




지난 9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올트먼이 5조~7조 달러(약 6600조~9300조 원)에 달하는 자금 조달을 목표로 투자자와 만남을 이어가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올트먼이 AI 반도체 공급망 재편을 추진 중이라는 점은 널리 알려져 있고, 아랍에미리트(UAE)와 접선 중이라는 소식을 전해 듣고는 정말 큰 돈이 필요하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만, 7조 달러라는 수치는 상상도 못 해봤습니다.

7조 달러면 주요 AI 반도체 설계·생산과 관련된 모든 기업을 인수하고도 남습니다. 단순 계산으로 따져볼까요. 현재 엔비디아 시총이 1조7800억 달러, AMD가 2786억 달러입니다. TSMC가 5314억 달러, 삼성전자(005930)가 3700억 달러(442조 원), 인텔이 1831억 달러죠. AI 반도체 공급망에서 가장 중요한 이 다섯 회사 시총을 합쳐봤자 3조1431억 달러입니다. 단순히 오픈AI의 반도체 수급난을 해결하고자 한다면 저 금액으로 이 모든 회사들을 인수하는 게 빠르겠죠. 이는 곧 올트먼이 오픈AI만이 아닌, AI 생태계 전반을 뒤바꿀 무언가를 꿈꾸고 있다는 방증입니다.

◇ AI 반도체 자체 설계보다는 팹 증설에 관심 높은 듯

올트먼의 의중을 추측해 봤습니다. 저는 올트먼이 독자적인 AI 반도체 설계에 나서고자 한다는 시각에는 회의적입니다. 현재 AI 가속기 시장에서 엔비디아가 쥔 독점력은 단순히 높은 성능에만 기인하는 것이 아닙니다. 엔비디아의 진정한 힘은 15년 이상 쌓여 온 CUDA 생태계에서 나오죠. CUDA에서 벗어나려면 새로운 문법을 익혀야 할 뿐만 아니라 15년간 쌓인 라이브러리를 포기해야 합니다. 이제와 백지에서 설계를 시작한다 해서 엔비디아를 뛰어넘는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만들기도 힘들 뿐더러, 설사 초고성능 신형 GPU를 내놓더라도 시간이 만들어준 CUDA의 벽을 뚫기 힘든 것이죠.

설령 초고성능 신형 GPU가 등장한다 해도 공급망 안정 차원에서 큰 의미가 있을까요? 현재 드높은 GPU 가격의 원인은 부족한 초미세공정 반도체 생산력입니다. 3나노 이하 초미세공정 반도체는 TSMC와 삼성전자만이 생산 가능하고, 이 조차도 ASML 장비가 필요합니다. 한정된 라인을 두고 각 설계사가 다툼을 벌여봤자 최종적인 반도체 공급량은 ‘제로섬’인 셈이죠.

지난 7일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자신의 X에 올린 게시물. X 캡처


올트먼의 말에 답이 있지 않을까요. 올트먼은 WSJ 보도에 앞서 엑스(X·옛 트위터)에 “세계가 현재 계획중인 것보다 더 많은 AI 인프라를 필요로 한다고 믿는다”며 “대규모 AI 인프라와 탄력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이 경쟁력에 매우 중요하다”고 썼습니다. 올트먼이 명시한 ‘AI 인프라’는 공장(팹) 용량, 에너지, 데이터센터입니다.

‘반도체 설계’는 언급하지 않았죠. 도리어 팹 증설에 관심이 커 보입니다. 올트먼의 최근 행보 또한 이러한 시각에 힘을 더합니다. 올트먼은 최근 TSMC와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찾은 데 이어 다음주에는 인텔의 첫 파운드리 포럼에서 연설합니다. 주요 파운드리·메모리 제조사와 모두 접선하는 중인 것이죠.



◇ UAE 접촉 왜…? 아부다비가 손에 쥔 글로벌파운드리

올트먼이 UAE와 접촉하고 있다는 데서 단서를 찾아봅시다. 구체적으로 올트먼이 접선한 인물은 UAE 셰이크 타흐눈 빈 자예도 국가안보 고문인데, 그는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UAE 대통령 동생입니다. 알 나흐얀 대통령은 아부다비 국부펀드 무바달라를 손에 쥐고 있죠.

무바달라 포트폴리오 중에 반도체 파운드리가 있습니다. 바로 과거 AMD 팹이던 글로벌파운드리죠. 글로벌파운드리는 한때 세계 3대 파운드리로 불리던 기업이었습니다만, TSMC·삼성전자와 14나노 이하 미세공정 경쟁을 포기하며 낙오한 전력이 있습니다.

그러나 과거 TSMC와 치열한 경쟁을 펼치던 저력이 있는 회사입니다. 올트먼이 글로벌파운드리 최대주주를 찾아 거액의 투자로 TSMC, 삼성전자, 인텔에 이은 ‘제4 파운드리’로 성장시켜 보자는 제안을 했을 가능성은 충분하지 않을까요?

올트먼은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과도 만남을 가졌다 합니다. 이 자리에서 칩스법(반도체 지원법) 지원 대상에 미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파운드리를 포함시켜 달라는 요구를 했다는 상상은 어떨까요. 글로벌파운드리 본사는 뉴욕에 있습니다. 주요 팹도 뉴욕과 버몬트에 위치해 있죠.


미국 뉴욕주 몰타에 위치한 글로벌 파운드리 본사. 사진제공=글로벌 파운드리


물론 저도 7조 달러에 달하는 자금이 모두 글로벌파운드리 한 회사에 투입될 것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반도체 인프라 전반을 뒤바꿀 수 있는 금액이니까요. 올트먼이 구상 중인 생태계 혁신의 한 축 정도가 아닐까 싶은 심증이 들 뿐입니다.

다만 올트먼이 AGI(일반인공지능) 달성에 현재의 반도체 공급량이 턱 없이 부족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지난해 세계 반도체 총 매출이 5270억 달러(약 700조 원)였는데, 이 10배 이상의 자금이 필요하다는 뜻이니까요. 올트먼의 주 전공은 사실 AI가 아닌 투자입니다. 1경 원에 달하는 거액을 투자해도 이득이라는 판단을 내렸다는 뜻이니, 반도체 시장이 현재보다 훨씬 더 커질 것이라는 확신을 가졌다 해도 무방하겠죠.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