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가 개인 회계사를 제외한 회계법인과 노무사와 세무사만이 고용보험과 산업재해보상보험에 관한 사무를 대리할 수 있다고 규정한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이 직업수행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는다는 판결을 내렸다.
헌법재판소는 지난 달 28일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 징수 등에 관한 법률 제33조 제1항 등에 관한 위헌확인에서 재판관 5:4의 의견으로 청구를 기각했다고 7일 밝혔다.
청구인들은 공인회계사로 보험 사무 대행 기관에 회계사가 규정되어 있지 않은 점이 직업 선택의 자유와 평등권을 침해한다며 2020년 1월 28일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했다.
보험료 신고와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에 관한 사무를 대행할 수 있는 보험사무대행기관으로 공인회계사를 규정하지 않고 있는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제33조 제1항과 같은 법 시행령 제44조가 헌법에 위배된다는 것이다.
다만 재판부는 청구인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어 "심판대상조항은 보험사무대행기관의 자격을 규정함으로써 보험사무대행업무의 품질을 유지하고 보험사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해 사업주의 보험사무 관련 행정처리 부담을 효과적으로 덜어주는 데 그 입법 목적이 있다"며 "보험사무대행기관의 자격을 한정하는 것은 위와 같은 입법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적합한 수단"이라고 봤다.
관련기사
이어 "공인회계사는 회계에 관한 감사 감정 증명 계산 정리 입안 또는 법인설립등에 관한 회계, 세무대리, 그리고 위 업무들에 부대되는 업무를 수행하므로(공인회계사법 제2조), 공인회계사의 직무가 위 보험사무대행업무와 높은 관련성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짚었다.
재판부는 또 회계법인이 보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이 있다는 점과 관련해선 관계 법률에 따른 주무관청의 인가 혹은 허가를 받은 법인에 해당하고, 또 개인 공인회계사에 비해 공신력과 신용도가 높아 효율적으로 보험 사무 관리에 적합하다고 봤다.
이어 "상당수 공인회계사들이 소속되어 있는 회계법인은 심판대상조항이 정한 '관계 법률에 따라 주무관청의 인가 또는 허가를 받거나 등록 등을 한 법인'에 해당해 보험사무대행기관이 될 수 있다"며 "회계법인은 개인 공인회계사에 비해 공신력과 신용도가 높고 사업주와의 관계에서 업무의 연속성이 단절될 우려가 적어 보험사무대행업무의 품질을 유지하고 효율적으로 보험사무를 관리하는 데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즉, 심판대상조항이 보험사무대행기관에 회계법인을 포함하면서 개인 공인회계사를 포함시키지 않은 것 역시 불합리하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본 것이다.
재판부는 이어 "해당 심판대상조항이 보험사무대행기관의 범위에 개인 공인회계사를 포함하지 않았다고 하여 청구인들의 직업수행의 자유를 필요 이상으로 제한한다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심판대상조항은 침해의 최소성 요건을 충족한다"고 판시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