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8위. 최근 글로벌기업가정신연구협회(GERA)에서 발간한 ‘2023년 글로벌 기업가정신 모니터’ 보고서에 나온 한국의 기업가정신지수 순위다. 지난해와 비교해 1계단 상승했다. 이 보고서는 기업가정신과 국가 경제성장 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매년 발간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점수가 가장 높아진 분야는 13개 항목 중 대학·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정도를 평가한 연구개발(R&D) 항목이다.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을 산업 현장에서 상용화할 수 있도록 기업에 이전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어렵게 개발한 기술의 맹점, 유용성, 발전 가능성을 모두 잘 알고 있는 교원·연구원이 ‘기업가정신’을 발휘해 직접 창업에 나서는 것은 어떨까.
우리나라 정부 R&D는 장기적으로 봤을 때 지속 증가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학문적인 R&D 연구 성과가 사업화로 이어지지 않는 ‘연계 결여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예전보다는 개선됐지만 사업화 성과보다 학문적 성과를 중시하는 방식으로 정부 예산 배정 평가를 진행하는 것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배출한 창업 기업은 2021년 기준 222개, 대학에서 나온 교원 창업 기업은 2022년 기준 470개로 둘을 합치면 700여 개가 된다. 하지만 지난해 기술 기반으로 창업한 기업 약 22만 1000개와 비교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교원·연구원 창업은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일반 창업과 비교해 기술에 많이 의존한다. 산업 현장에 맞닿아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에 국가 경제 발전으로 직결되는 원천기술 산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또 고용 창출과 기업 생존율도 일반 창업 기업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
교원 창업을 늘리려면 이들이 만들어내는 기술이 상용화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우선 논문 작성 중심 문화로부터 탈피해 창업 중심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또 기술을 보유한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인사관리·마케팅 등 경영 핵심 요소를 알려주는 교육 프로그램을 고도화해 창업 기획자를 육성해야 한다. 연구기관 통합 창업경진대회를 개최해 연구원 창업을 유도·확산할 필요도 있다.
연구 기반 창업은 초기 창업 투자 비용과 회수 기간이 길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 때문에 창업 준비 단계부터 성장까지 지원할 수 있는 장기적인 지원 제도를 갖춰야 한다. 교원·연구원 창업을 대상으로 한 재정 지원 가이드라인을 구비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창업에 나선 이후 직면하게 되는 위험을 정부와 기관이 함께 나눠 창업 위험을 줄이고 성공 가능성은 높이는 방안도 필요하다. 이런 제도적 기반이 갖춰져야 더 많은 우수 인력이 벤처 창업에 뛰어들 수 있다.
최근 정부는 교수나 국공립 연구기관 연구원이 창업할 때 휴직을 인정하는 기간을 최대 7년까지 확대했다. 도전적인 기업가정신을 가지고 안정된 환경을 박차고 뛰어나와 창업 전선에 뛰어드는 예비 벤처기업 대표를 지금보다 더 자주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