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4월 셋째주 역대 최저인 37.3GW의 전력수요를 예상하면서 원전 4기의 예방 정비를 통해 전력공급을 조절하는 등 전력수급 불균형 완화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꺼내 들었다. 산업부는 이 같은 사전 조치에도 불구하고 계통 불안정성이 심화될 경우 강제 출력제어도 불사하기로 하고 발전사업자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산업부는 19일 서울 서초구 한전아트센터에서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 주재로 열린 ‘전력망 혁신 전담반(TF)’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봄철 전력수급특별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올해 봄철 최저 전력수요를 37.3GW로 전망했다. 이는 최근 4년간(△2020년 42.8GW △2021년 42.4GW △2022 41.4GW △2023년 39.5GW)은 물론 역대 가장 낮은 수준이다. 특히 포근한 날씨에 냉난방기 등 전기사용량(소비)이 주는 데다 자가소비용 태양광 발전량이 급격히 늘면서 4월 셋째주에
‘수요절벽’과 마주할 것으로 예상한다. 전력의 수요와 공급이 불일치할 경우 대규모 블랙아웃(정전)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이에 전력 당국은 올봄 전력수급 대책기간(3월23일~6월2일, 총 72일)을 지난해보다 1주일 확대·운영하기로 했다. 지난해 호남과 제주 지역에서 국지적인 전력수급 불균형이 발생한 것과 달리 올해는 계통 불안정이 전국적인 문제로 확대됐기 때문이다.
산업부는 아울러 △주요 발전기 정비 일정 조정 △석탄단지 운영 최소화 △공공기관 자가용 태양광 운영 최소화 △수요자원(DR) 활용 등 사전 안정화 조치를 취한다. 핵심은 경직성 전원인 원전 4기에 대한 정비를 통한 일시 가동 중단이다. 이로써 3GW 이상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전력 당국은 최악의 시나리오를 상정해 출력제어 가능성도 시사했다. 지난해는 두 차례 출력제어가 이뤄졌다. 올해는 출력제어가 상대적으로 쉽고 연료비가 높은 석탄, 액화천연가스(LNG) 등 유연성 전원을 시작으로 원전과 연료전지, 바이오, 태양광, 풍력 등 모든 발전원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는 방침이다.
이 실장은 “선제적인 조치를 통해 봄철 출력제어 발생확률 시간 기준 2.7%에서 1.3%로 줄일 수 있었다”면서 “향후 ‘자발적 출력제어 서비스 시장’ 개설 등 계통 안정화 조치 과정에서 전력시장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