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주식시장에 신규 상장이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공개(IPO)에 필요한 기간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 당국이 국내 기업의 해외 상장을 신고하도록 하고 홍콩 증시에 매력이 예전보다 크게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25일 홍콩 명보는 화푸젠예 기업금융이 홍콩증권거래소 홈페이지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처음 상장 신청서를 낸 기간(6개월) 동안 상장을 완료한 신주 비중이 2021년 51%에서 지난해 12%로 급감했다고 보도했다. 자료에 따르면 상장 신청서를 최초로 제출하고 6개월 이내에 바로 상장한 기업은 2021년 89개사 중 45개사(약 51%)에서와 2022년 83개사 중 15개사(약 18%), 2023년 73개사 중 9개사(약 12%)로 줄었다. 나머지 기업들은 모두 1회 이상 추가 자료를 내고 상장 심사에 나서야 했다.
자료를 추가로 제출함에 따라 상장 신청서 제출부터 상장까지 평균 일수도 늘어났다. 2021년 235일에서 2022년 341일, 지난해에는 447일까지 길어졌다. 첫 상장 신청서를 내고 상장한 최장 및 최단 일수도 2021년 1005일과 41일, 2022년 1182일과 44일, 2023년 1646일과 72일로 늘어났다. 2022년과 2023년에 상장 신청서를 제출하고 상장하기까지 2년이 넘는 회사가 각각 11곳이나 된다.
홍콩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신청인이 신청서를 제출하고 상장 승인을 받기까지 평균 203영업일(2022년 167일)이 걸렸다.
황웨이청 화푸젠예 기업금융관리 총재는 “지난해 홍콩 신주는 제출 후 상장까지 걸리는 시간이 특히 길었는데, 그 이유 중 하나는 지난해 3월 말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가 등록제를 시행해 관련 기업이 규정에 따라 등록할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라며 “평균 등록일수는 100일을 넘어야 하고 등록이 완료된 후에야 홍콩에서 상장 심리를 진행할 수 있어 상장이 지연됐다”고 지적했다. 중국 증감위는 국내 기업이 해외 상장을 하려면 증감위에 사전 등록하도록 하고 있다.
홍콩 증시에 상장을 꺼리는 영향도 심사 지연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공공전문연맹 재정정책 대변인 전원싱은 “초창기에는 비교적 많은 대기업이나 신용이 좋은 회사가 홍콩에 상장돼 있어 규제기관의 경계심이 적고 자연히 심사가 빨랐으나 최근 대기업의 상장은 드물다”며 “상장 신청 기업은 대부분 중소기업이 많아 심사가 비교적 엄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홍콩 증시 신규 상장을 통한 기업들의 자금 조달 규모는 22년 만에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3일 정보 제공업체 딜로직을 인용해 지난해 홍콩 증시에서 신규 IPO와 2차 상장을 통한 기업들의 자금 조달 규모가 58억8000만 달러(약 7조7000억원)에 그쳐 2001년 33억 달러(약 4조3000억원)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홍콩 증시의 신규 상장 규모는 2010년 679억5000만 달러로 정점을 찍었고, 코로나19 확산 초반이던 2020년에도 516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홍콩 증시 부진과 외국인 자금 이탈 등의 영향으로 IPO 가뭄이 심각해지는 상황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