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콘을 비롯한 대만 대표 정보기술(IT) 제조기업들이 멕시코로 향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지정학적 갈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미국과 자유무역협정(USMCA)을 맺은 멕시코가 대안으로 급부상하는 양상이다. 미국 기업들이 과거 스마트폰 생산지를 중국에 뒀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대만 협력사들의 ‘니어쇼어링’을 압박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31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인공지능(AI) 분야 미국 대기업들이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대만 파트너사들의 멕시코 생산을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제임스 황 대만 대외무역발전위원회 회장은 “북미 국가들은 아시아산 부품을 사용하기보다는 아메리카산으로 대체하기를 원한다”며 “멕시코는 USMCA의 가장 중요한 제조 기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애플 아이폰 제조업체로 유명한 폭스콘은 지난 4년간 멕시코에 약 6억9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지난 2월에는 멕시코 서부 할리스코주에 2700만 달러를 들여 공장 부지를 추가 매입하기도 했다. 폭스콘은 할리스코를 비롯해 멕시코 각지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엔비디아 등을 위한 AI 서버용 부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IT 기기 생산을 위해서는 고성능 반도체 외에도 수많은 전자·기계 부품이 필요하다. 데이터센터 구축에 필요한 저장·냉각·연결 부품 공급망을 생산비와 관세가 저렴한 멕시코에 두겠다는 전략으로 읽힌다.
폭스콘 외에도 인벤텍, 페가트론, 위스트론 등 대만 대표 부품 제조사들이 멕시코로 향하고 있다. 현재 멕시코에 진출한 대만 기업은 약 300개에 달하며 총 7만 명을 고용하고 있다. 지난해 양국 간 무역 규모는 150억 달러를 넘어섰다. 대만 협력사의 멕시코 진출은 미국 거래처의 ‘요청 사항’이기도 하다. WSJ은 “델과 HPE 등이 공급업체들에게 서버 및 클라우드 컴퓨팅 생산처를 멕시코와 동남아로 이전해 중국 의존도를 줄이도록 요청했다”며 “15년 전 스마트폰 핵심 부품과 제조 역량을 중국에 뒀던 미국 기업들이 과거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으려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멕시코가 맺어온 광범위한 자유무역협정(FTA)도 대만 기업들에게 매력적인 요소다. 멕시코는 세계 최다인 14개 FTA를 50개 국가와 체결하고 있다. 다만 불안한 치안 여건과 낮은 노동 효율성은 약점으로 지목된다. WSJ은 “멕시코는 범죄, 물과 전기 공급 부족, 숙련 노동자에 대한 치열한 임금 경쟁 등 생산 허브로서 리스크를 안고 있다”며 “일부 대만 관리자들은 갱단의 공장 약탈을 막기 위해 개인 보안에 의존하고 있고, 멕시코 근로자들은 중국에 비해 초과 근무 의지가 약하다”고 평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