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대선과 제8회 지방선거 때 국민의힘에 승리를 안겼던 유권자들이 22대 총선에서는 야권에 표를 몰아주며 2년 만에 180도 뒤집힌 민심을 드러냈다. 지난해 10월 참패한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때 중도층 이탈을 경험했지만 대통령실이 ‘김건희 리스크’, 이종섭·황상무 논란, 고물가 등 악재에 제대로 된 대응을 하지 못해 정권 심판 여론 확산을 자초한 것이 핵심 원인으로 지목된다.
윤석열 대통령(48.56%)은 2022년 3월 치러진 대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47.83%)에 0.73%포인트 차이로 이겼다. 한규섭 서울대 교수가 당시 읍면동별 득표수를 총선 지역구별로 분류한 결과 전국 253곳(선거구 획정 전 기준) 지역구 중 국민의힘이 139곳에서 이기는 결과였다. 국민의힘은 대선 3개월 후 치러진 8회 지방선거에서도 17개 시도 중 12곳에서 당선인을 내며 압승을 거뒀다.
민심이 여권에 경고장을 날린 건 지난해 10월 11일 실시한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때였다. 총선을 앞두고 여야가 총력전을 벌였지만 당시 진교훈 민주당 후보가 득표율 56.52%로 김태우 국민의힘 후보(39.37%)를 압도하며 ‘윤석열 정부 심판론’에 불이 붙기 시작했다. 대통령실은 “선거를 치른 것은 대통령실이 아니라 국민의힘”이라며 책임을 회피했고 국민의힘은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로 전환하긴 했지만 대통령실과 거리 두기에 결국 실패했다는 평가다.
특히 김건희 여사의 ‘디올백 수수’ 논란은 총선 정국 내내 야당에 심판론 명분을 내주는 악재로 작용했지만 윤 대통령은 의혹 제기 후 약 3개월 만의 언론 대담에서도 별도의 사과 메시지를 내놓지 않아 ‘불통’ 이미지를 강화했다. 여기에 ‘대파 값 논란’을 초래한 대통령실의 의전 실패, 이종섭 전 주호주대사의 출국 강행, 황상무 전 시민사회수석의 ‘회칼 테러’ 발언 등 모든 대형 악재가 대통령실로부터 나왔다.
이번 총선에서 수도권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한 국민의힘 후보는 “지역 공약을 내면 뭐하겠느냐. 용산발 논란과 늦장 대응이 모든 이슈의 블랙홀이 됐다”고 허탈해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