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오는 2028년까지 총 사업비 280억 원을 투입해 고부가가치 화학소재 개발과 친환경 재활용 산업 발전을 위한 ‘울산형 플라스틱 순환경제 산업기반 구축사업’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최근 SK지오센트릭을 비롯한 지역 대기업들은 울산에 대규모 폐플라스틱 재활용 공장 등 재활용 사업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들은 자체 설비구축이 힘들고, 공공시설 부재로 재활용 고도화와 활성화에 제약이 있다. 이에, 울산시는 재생 원료를 실증할 수 있는 시설을 건립해 플라스틱 재활용 원료의 안정적 공급, 소재·제품의 신뢰성 확보, 중소기업 지원 등 공공거점 역할을 한다는 구상이다.
순환경제 산업기반 구축사업은 ‘플라스틱 재·새활용(리앤업사이클링) 실증지원센터’와 ‘화학적 재활용 해중합 실증시설’ 등 2개 세부사업으로 추진되며 울산테크노파크가 수행한다.
플라스틱 재·새활용 실증지원센터는 단순히 폐기되는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새활용 할 수 있는 지원시스템을 구축한다. 실증지원센터는 플라스틱 재생원료 관련 기업에 입주 공간과 실증 장비 사용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시제품 제작과 유해성 인증 등을 통한 상용화 과정도 지원한다. 울산시는 플라스틱 재생 원료를 사용해 고부가가치 원료와 제품생산, 기술 검증까지 통합 지원체계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화학적 재활용 해중합 실증시설은 폴리우레탄(PU), 폴리스티렌(PS) 등 재활용이 어려운 폐합성수지에 대해 화학적 재활용 기술 실증이 가능한 장비를 만들어 물리적 재활용의 단점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 재생 플라스틱 의무 사용 등 해외 주요국의 플라스틱 분야 환경규제에 대응하고 국내 산업의 세계적 경쟁력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형 순환경제 산업기반을 통해 울산이 우리나라 순환경제를 선도하는 도시로 도약하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울산은 플라스틱 등 화학산업 원료, 가공, 제품화 기반의 집적지로 순환경제의 접근성·수요성·연계성·확장성을 보유하고 있다. 화학적 재활용 시장은 향후 10년간 연평균 17%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